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브랜드위기의 부정적 효과

이용수  568

영문명
Negative Effects of Brand Crisis: Focus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박명호(Park, Myung-ho) 장영혜(Jang, Young-hye)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 第28卷 第4號, 139~1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에서는 브랜드위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 감정 그리고 행동적 차원의 부정적 효과와 소비자-브랜드관계정도에 따른 브랜드실망감의 부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의 브랜드위기를 고객관련 위기(제품결함에 대한 기업의 부적절한 대응 상황), 종업원관련 위기(종업원의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로 발생한 상황), 그리고 환경관련 위기(환경오염 물질의 누출에 대한 기업의 안일한 대응이 사회적 문제로까지 확대된 상황)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브랜드위기 상황에 관한 시나리오는 사전조사를 통해 확정하였다. 브랜드위기의 사전-사후 소비자들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리서치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수집하였다. 브랜드위기 이전-이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평가와 브랜드위기 이후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대응별 평균차이 검정과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R² 변화량의 차이를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위기 이전에 비해 이후에 기업명성과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위기의 심각성은 기업명성과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의 차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위기로 인한 브랜드실망감은 후회감과 부정적구전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브랜드전환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브랜드 실망감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소비자-브랜드관계의 조절효과는 고객관련 위기 상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브랜드위기가 소비자들의 인지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 그리고 행동적 측면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소비자-브랜드관계정도에 따라 브랜드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negative effec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 of brand cri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o the negative effects. Three types of brand crisis were devised for this research: 1) customer-related crisis (failure to respond rightly to product defects), 2) employee-related crisis (caused by violation of employees’ privacy), and 3) environment-related crisis (company's improper response to leaking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which caused a social issue). The scenarios for brand crisis situations were designed and were checked and finalized through both experts’ opinions and a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 marketing research firm. To examine consumers' cogni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brand crisis and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after brand crisis, paired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by types of brand crisis. The hypothe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were tested by the method of difference in R².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dents’ perception of corporate reput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before and after brand crisis. Also, the seriousness of brand crisis had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evaluation of corporate reput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Brand disappointment caused by brand crisis had an impact on regret and negative word of mouth, but no impact on brand switching inten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o the negative effect of brand disappoin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customer-related cri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negative effects of brand crisis on consumer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practical guides to effectively deal with brand crises by type of brand crisis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Ⅳ. 실증연구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호(Park, Myung-ho),장영혜(Jang, Young-hye). (2013).브랜드위기의 부정적 효과. 경영연구, 28 (4), 139-172

MLA

박명호(Park, Myung-ho),장영혜(Jang, Young-hye). "브랜드위기의 부정적 효과." 경영연구, 28.4(2013): 13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