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와즈디 무아와드의 희곡 『화염』에 나타난 폭력과 윤리의 문제
이용수 575
- 영문명
- Ethique et violence dans Incendies de Wajdi Mouawad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신정아(SHIN, Junga)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66권, 165~1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15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et article vise à éclairer la question de la violence et de l'éthique à partir des analyses de la pièce de théâtre de Wajdi Mouawad, intitulée Incendies. On constate que dans oeuvre, on vit une situation de violence permanente, parce que là où se déroule une des actions principales, on est en guerre, "cette guerre de cent ans" qui remonte à l'origine. Or une des scènes les plus épouvantables de la violence dans cette pièce de théâtre est celle dans laquelle Nawal, héroïne principale de la pièce, est violée dans une prison par un redoutable bourreau appelé Abou Tarek, avéré plus tard son fils perdu. Dans cet article, nous nous sommes interrogé tout particulièrement sur la question de savoir dans quelle mesure le mythe d'OEdipe remanié sous la plume de Mouawad contribue à mettre fin au cercle vicieux de la violence commise à l'échelle communautaire.
Notre idée est que dans le cadre de cette pièce de théâtre, le mythe est à explorer non seulement d'un point de vue privé mais également dans une perspective communautaire. Comme on le sait, Incendies met en scène les deux communautés culturelles qui sont en perpétuel conflit pour une raison quelconque. Elles sont toutes deux intransigeantes sur leurs positions. Elles entretiennent là l'une avec l' autre une relation qui correspond à ce que Lotman appelle "enantiomorphic pairings". D'où la violence perpetuelle.
Dans ces condi tions, est- il possible de partir à la recherche d'un sens commun, voire universel? En nous réclamant d'AJain Badiou qui reconnaît la possibilité d'une universalité singulière dans le geste de double négation de Saint Paul, nous avons essayé de montrer comment un interprète- voyageur qui traverse sans cesse la frontière entre les deux sémiosphères en perpétuel conflit va devenir un sujet éthique en surmontant les limites du cornrnunautarisme.
목차
Ⅰ. 서론
Ⅱ. 폭력의 구조
Ⅲ. 경계와 횡단 경험
Ⅲ. 경계와 횡단 경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주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쓰기
- 쥘리앙 그라크의 『좁은 강』에 나타난 문학적 몽상
- 벨 에포크 시대와 아폴리네르의 시학
- 프랑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 Roméo et Juliette>의 구성 연구
- 프랑스어와 영어의 커피맛 기술 형용사의 의미장과 의미 전이
- 표지 단순미래에 관한 연구
- 와즈디 무아와드의 희곡 『화염』에 나타난 폭력과 윤리의 문제
- 모더니티, 끝나지 않은 여정
- 앙드레 말로의 『정복자』에서 서사텍스트의 불연속적 구조와 노장철학
- 미셸 투르니에와 프로이트의 가족 소설 이론
- 복잡계와 환기시학: 복잡성, 협동현상, 떠오름
- 유르스나르의 『동양의 이야기들』에 나타난 동양 미술의 창작 미학
- 프랑스학과 프랑스 번역학, 어떻게 만날 것인가
- 에두와르 마네의 역사그림에 나타난 사진의 활용
- La littérature coréenne dans le paysage éditorial français et les modalités de traduction
- 텍스트의 구조적 분석과 이야기 시퀀스
- La perspective actionnelle en Corée du Sud: Utopie ou réalité ?
-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조르주 상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