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동화노래수업이 장ㆍ단기 기억과 문법습득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16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채영신(Youngshin Chae) 윤은자(Eunja Yu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9권 2호, 241~2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s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effects does learning English through singing children’s literature have on primary school students’ long term memory? Second, what effects can the use of the songs have on the student’s grammar learning? Lastly, what affective responses and evaluations do the students make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singing children’s literatur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60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ifth grade.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is exposed to 12 week English instruction through songs of children’s literature, the control group simply reads aloud the same children’s books for the same perio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long-term memory.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long-term memory than the class of read-aloud. In grammar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both groups showed that their grammar learning was enhanced. Lastly, in the affective domains, many students in the class of songs showed increased interests and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In addition, they wrote that their abilities in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vocabulary appeared to have improved.
목차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분석
Ⅴ. 정의적 영역 분석
Ⅵ. 결론
참고 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 기반 현대 그림책 작가 Anthony Browne작품 어휘 분석
- 영어동화노래수업이 장ㆍ단기 기억과 문법습득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쓰기 피드백의 효과 연구
- 초등 영어 검인정 교과서 CD-ROM타이틀 평가 준거 개발
- 초등영어교육에서 창의성의 의미
- 초등영어 창의ㆍ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 정보 중심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초등영어-미술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 초등 영어 말하기ㆍ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이야기 바꾸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 반편견 교육을 기반으로 한 문화 포용성 배양 지도 효과
-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