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이용수 1,08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다운(Jeong, Da-U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9권 2호, 219~2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teaching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o examine how the model works in the classroom. The model is modified from Moran(2001)’s culture teaching model in which the subcomponents of Byram(1997)’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can be learned in its four phases; knowing-how, knowing-what, knowing-why and knowing-oneself. Also, the model has reflecte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teachers’ guides and needs analyses of teachers. In the knowing-how phase, students see some products from the target culture and act out behaviors of the target culture. In the knowing-what phase, students are explained the target culture verbally. The third phase, knowing-why,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ere should be an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during their research. In the knowing-oneself phase, students internalize what they have learned and adapt it to similar situations. The evaluation of the model’s adaptabilit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 is higher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group’s in the knowledge and know-how sec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model there should be flexibility in merging the phases, an appropriate way of presenting materials, interdisciplinary lessons and follow-up activities at hom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 기반 현대 그림책 작가 Anthony Browne작품 어휘 분석
- 영어동화노래수업이 장ㆍ단기 기억과 문법습득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쓰기 피드백의 효과 연구
- 초등 영어 검인정 교과서 CD-ROM타이틀 평가 준거 개발
- 초등영어교육에서 창의성의 의미
- 초등영어 창의ㆍ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 정보 중심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초등영어-미술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 초등 영어 말하기ㆍ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이야기 바꾸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 반편견 교육을 기반으로 한 문화 포용성 배양 지도 효과
-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