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이용수 1,33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영(Ahn, Jiyoung) 박은성(Park, Eun Su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9권 2호, 105~1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content and presentation of different cultures represented in current textbooks. To that end, cultural contents from four 5th-6th grad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ntent type, presentation method, activity type, and the origin of the content material.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assess students’ preferences in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ltural contents presented in current textbooks focused mostly on ‘Products’ such as food and clothes, and ‘Practices’ such as school and society, and that the most common way of introducing cultural contents was by means of CD-ROMs and picture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cultural aspects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were represented predominantly more than those from other cultures including the Korean culture. The current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in terms of cultural content and presentation 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cultural contents from various countri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 기반 현대 그림책 작가 Anthony Browne작품 어휘 분석
- 영어동화노래수업이 장ㆍ단기 기억과 문법습득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쓰기 피드백의 효과 연구
- 초등 영어 검인정 교과서 CD-ROM타이틀 평가 준거 개발
- 초등영어교육에서 창의성의 의미
- 초등영어 창의ㆍ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 정보 중심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초등영어-미술 통합 수업에 대한 연구
- 초등 영어 말하기ㆍ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이야기 바꾸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 반편견 교육을 기반으로 한 문화 포용성 배양 지도 효과
-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