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of Victims on Crime Victimization: The Review on Korean Empiric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박철현(Park, Cheol-Hyu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12권 제1호, 297~3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review on various studies on the role of victims on crime victimization and a rating on an importance of the role of victims in crime incidence.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 One is a review on bi-dimensional relations and the other is multi-dimensional 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s of victims and crime victimization.
According to the review on Korean bi-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the attractiveness of victim or the absence of guardianship was an important variable on the increase of crime victimization. Both in household crime(ex, burglary) and in personal crime(ex, murder or manslaughter, personal theft, robbery, rape, sexual harrassment and etc..), the higher attractive victims are, the more crime victimization are. But the intense of the victim responsibility was highly various from non-responsibility to full responsibility. This was changed by the type of crime and by the age of victim. Generally, in high school or college victims, the effects of the target attractiveness on crime victimization was stronger than adult part. And also that effects were stronger in personal crime (specially sexual assault or sexual harassment) than in property crime. Though, the effects of target attractiveness on crime victimization in multi-variate analysis were weaker than in bi-dimensional analysis.
Finally, to some degree, target attractiveness was an important variable on crime victimization, but it was focused to specific crime types and specific victim types.
목차
Ⅰ. 서론
Ⅱ. 피해자의 특성과 법죄피해: 이론적 논의
Ⅲ. 범죄피해자(물)의 특성 : 기술적 분석 결과의 리뷰
Ⅳ. 범죄피해의 발생에서 피해자의 역할: 다변량분석 결과의 리뷰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