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uvenile Delinquency on Cyberspace and the Criminal 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정완(Choung, Wa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12권 제1호, 167~21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nternet provides us with convenient access to a highly diverse area such as educational resources and collaborative studies. However,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youth are exposed to the potential harm caused by using the Internet.
I suggested several policies in protecting youth and children from illegal and harmful materials of the Internet in this paper.
Firstly, I reviewed current situation of juvenile delinquency on the cyberspace through the quotation of statistic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Secondly, I explained about inappropriate Internet material and the legal controls. For example, a harmful exposure can occur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Web pages, cyber communities, e-mails, chat rooms, instant messages, and peer-to-peer file-sharing connections.
Thirdly, I examined several approaches to youth protection, basing on law, technology, and education. On the public policy side, government has to strengthen its policies through legal regulations to protect youth and children from illegal and harmful materials on the Internet. On the technical side, technological methods to restrict or block minors from inappropriate materials should be used. Technology-based tools such as filters can b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the exposure of minors to inappropriate content.
Final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law enforcements at the local, stat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o protect youth and children from inappropriate sexually explicit material on the Internet.
목차
Ⅰ. 서언
Ⅱ. 사이버공간에서의 청소년 일탈 및 피해 실태
Ⅲ. 주요 사이버범죄에 대한 현행법상 규제내용
Ⅳ. 사이버공간에서의 주요 불건전정보 현황
Ⅴ. 불건전정보에 대한 대응현황
Ⅵ. 유해정보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개선방안
Ⅶ.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