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AD 모형과 소집단 편성방법이 대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TAD model and small group organizing way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college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이남미(Lee, Nam-Mi)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9권 제2호, 269~2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using STAD and small group organizing way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16 weeks with 108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one was taught reading by the STAD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other was by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sisted of students whose levels were similar and other group was randomly chosen students.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llaborated together on their group work and individual work. Students participated in their group work actively and cooperatively.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ame text book as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y were guided using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AD cooperative learning and small group organizing way carried out in small groups has remarkably illustrated good effects in reading skills and positive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ich are much more than traditional grammar translat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benefits of using STAD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are various, from increasing students' 'four skills', to enhancing their world views and motivation to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텍스트 수정이 텍스트 난이도와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수업언어 및 학업수준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의 교수언어분석 사례연구
- STAD 모형과 소집단 편성방법이 대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어정책구현자로서의 교사: 국제어 인식 및 교과활용에 대한 연구
- Recursive Cognitive Processes in L2 Writing of Korean EFL Students
- A Study on Intelligibility of Korean English in Cross-cultural Context
- 소셜 미디어 특성이 모바일 영어학습의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Developing the Appropriate Vocabulary Size For Extensive Reading in Korean EFL Contexts
- A Critical Look at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of a NEST
-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습동기와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cademic Motivational Orientations and Vocabulary Size of L2 Adolescent Learners
- Acquisition of English Dative Alternation by Korean EFL Learners
- Learning How to Perform L2 Speech Act in EFL Context
- 수능 영어영역의 실용 · 기초학술영어에 대한 소재 명세화
-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among a Korean College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