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earning How to Perform L2 Speech Act in EFL Context
이용수 1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Jeong-Yeon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9권 제2호, 57~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form a speech act, in comparison with Korean nativ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With a focus on the speech act behavior of 'gratitud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English language groups, and to find what should be included in L2 sociolinguistic competence. The data have been obtained from 43 Americans and 91 Koreans assigned to three groups: English native speakers,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Korean native speakers. A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a subsequent interview examined the participants ' perception of the social factor of power relationship and further their choice of respon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ower relationship. The statistical procedure revealed that by different power relationships, they used significantly different gratitude strategies as well as politeness markers. Korean learners of English heavily depended on the strategies of negative politeness (Brown & Levinson, 1978. 1987), and the pattern of usages was similar to the Korean language group. Korean EFL textbooks and classrooms, therefore, need to include not only more diverse contexts in which ' gratitude' is necessary, but also the ways in which the English speech act is performed in a culturally appropriate manner.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텍스트 수정이 텍스트 난이도와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수업언어 및 학업수준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의 교수언어분석 사례연구
- STAD 모형과 소집단 편성방법이 대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어정책구현자로서의 교사: 국제어 인식 및 교과활용에 대한 연구
- Recursive Cognitive Processes in L2 Writing of Korean EFL Students
- A Study on Intelligibility of Korean English in Cross-cultural Context
- 소셜 미디어 특성이 모바일 영어학습의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Developing the Appropriate Vocabulary Size For Extensive Reading in Korean EFL Contexts
- A Critical Look at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of a NEST
-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습동기와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cademic Motivational Orientations and Vocabulary Size of L2 Adolescent Learners
- Acquisition of English Dative Alternation by Korean EFL Learners
- Learning How to Perform L2 Speech Act in EFL Context
- 수능 영어영역의 실용 · 기초학술영어에 대한 소재 명세화
-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among a Korean College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