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emporary Research Position of An Jung Guen Study and Its Issu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신운용(Shin, Woon-yong)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45집, 109~162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9,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필자는 이 글에서 안중근에 대한 연구현황과 쟁점을 ‘안중근 관계 사료 현황’,‘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안중근의 사상’,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인식•안중근재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안중근연구는 안중근의거와 순국 100주년을 전후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23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안중근이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하지만 안중근 관계 사료를 모두 모은『안중근자료집』이 출간되지 않은 것이 안중근연구의 현실이다. 안중근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하루 빨리『안중근자료집』이 간행되어야 한다.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은 가문적 배경, 천주교수용, 계몽운동, 독립전쟁, 정천동맹 등의 재기모색, 의거, 재판투쟁과 감옥생활 등에 집중되었다. 이는 조광•윤선자•신운용•오영섭•반병률•한상권 등의 연구가 주목된다.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에서 가장 큰 쟁점은 김두성이 실존했는가 하는 문제이다. 김두성의 실존설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김두성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은 각기 다르다. 조동걸은 유인식설을, 신용하는 김무원을, 오영섭은 한일의정서 반대투쟁을 시도한 김두성을, 반병률은 최재형을, 신운용은 가공설을 각각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 하나의 논쟁은 안중근에 대한 호칭문제이다. 이태진은 의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안중근장군설을 들고 나왔다. 이에 반해 신운용은 의사라는 호칭은 역사적 정당성이 있다는 주장하였다.
또한 안중근의거가 대동공보사와의 합작으로 이루어졌는가 하는 문제도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신용하는 합작으로 보았고 신운용은 우덕순의 도움을 받은 단독의거로 보았다.
‘안중근의 사상’에 대한 연구성과는 안중근의거의 사상적 배경을 밝히는 것과 동양평화론에 집중되었다. 전자는 천주교사가들을 중심으로 안중근의 천주교사상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특히 신운용과 황종렬은 안중근의 천명론이 의거의 배경이라고 주장하였다. 후자의 경우, 노명환은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이 천주교의 교리에 바탕을 둔 것으로 초국가적 발상이라고 주창하였다. 그리고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이 새로운 평화체제를 모색하는 이론적 길잡이로 본 최태욱 등의 주장은 눈여겨볼 만하다. 그리고 동양평화론에 대한 연구는 서용•마키노 에이지 등 중국과 일본의 연구자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안중근의 대외인식에 대한 연구’도 진전되었고, 그 중심은 일본에 대한 인식이다. 이는 학계의 중요한 논쟁점 중에 하나이다. 장석흥 등은 안중근이 인종론적인 입장에서 러일전쟁에서 일본을 지지하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신운용이 안중근의 일본관은 명성황후시해사건을 계기로 점차확대 발전하여 이토를 처단하기에 이르렀다고 주장하였다.
‘안중근의거에 대한 인식’은 크게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내의 인식은 한국 천주교 인식과 비천주교의 인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는 윤선자 등의 연구에서 보듯이 대체적으로 부정적이라는 결론이다. 이에 대해 신운용은 천주교 내에도 안중근인식의 다양성을 엿볼 있다고 주장하였다. 후자는 임수경•윤효정 등이『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의 안중근인식을 분석하였고, 신운용은 황실•정부•재야 학생세력•부일세력 등의 안중근인식을 살펴보았다.
해외한인의 안중근인식 연구는 한상권과 신운용의 논문이 주목된다. 그리고 제삼국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 중 중국인의 경우는 한시준•김춘선•손염홍•서용 등의 연구가 주목된다. 러시아의 안중근인식에 대한 연구는 박 보리스•박 벨라•따찌야나 심비르체바 등이 이끌었다. 일본의 안중근인식은 이규태와 이규수의 연구가 주목된다.
아울러 안중근인식에 대한 연구는 정현기•장화방 등에서 보듯이 역사학을 넘어 문학으로 확대되었다. 정현기•윤경섭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연구는 북한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신주백 등은 연구의 범위를 한일 양국의 교과서로 넓혔다.
‘안중근의거에 대한 국제 정치적 배경’은 박종효와 신운용의 연구로 어느 정도 드러났다. 러시아가 안중근을 그토록 신속하게 일제에 넘긴 이유에 대해 박종효는 정치적 부담이라는 이유를 들었고, 신운용은 서재근•김재동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 사법침탈의 결과라고 보았다. 한편, 안중근재판에 대한 연구는 ‘재판의 불법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이는 명순구•신운용 등의 연구가 참고 된다. 특히 명순구는 관동도독부 지반법원이 재판 관할권을 행사할 권한이 없다는 점, 적용해야 할 법은 국제법이라는 점, 안중근이 군인이므로 흉한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current research position on Martyr An Jung Guen and point out insufficiencies throughout various fields of study: 'Historical records of An Jung Guen', 'An Jung Guen's life and independence movement', 'His ideology', 'An's determination and its international political background', and 'An Jung Guen trials'.
Before and after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An's patriotic deed and demise, the study on An Jung Guen saw a sudden increase throughout various sectors. Theses about him have been published more than 230 pieces, which confirm his authority and position within history. To have the movement grow, a decent package of all historical records about An Jung Guen is now on desperate needs.
The study on 'An Jung Guen as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focuses on his family background, his family's entering Catholic,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dependence war, the attempt to make a revival of Chongchondongmang, his achievement: to kill Ito Hirobumi, his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trials, and the imprisonment. Oh Yongseop gives an examination on the background of An's family. Shin Woonyong, Cho Kwang, and Yoon Seonja inquire the meaning of his Catholic faith. Much attention is given on the study of his enlightenment campaign and independence movement achieved by Cho Kwang, Yoon Seonja, Shin Woonyong, Oh Yongseop, and Ban Byongryul. About the attempt to make a revival of Chongchondongmang was examined by Yoon Byongsoek and Shin Woonyong. About his trials and imprisonment can refer to the theses of Han Sang Kwon and Shin Woonyong.
The crucial point of 'An Jung Guen's lifetime and movement' depends on the fact about Kim Doo Song: whether he was a real figure or a fictitious one. At this point, the research has two main streams. Ones who observe Kim Doo Song as de facto power produce different translations: Cho Dongkeol sees Kim as Yoo In Shik, Shin Yongha interprets him Kim Moo Won; Oh Yongseop views him as Kim Doo Song who vetoed HanIluijongso, Ban Byungryul insists Kim was Choi Jae Hyung. On the other hand, Shin Woon Yong argues that Kim Doo Song was merely a made-up character by An Jung Geun to put behind-the-scene under protection.
What causes a dispute is the matter of addressing An Jung Guen as General or Martyr. It was first brought about by Lee Tae Jin around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An Jung Guen's patriotic deed.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the term, it is eventually about one's historical view. As a general, An Jung Geun would be kept in a limited realm where he fired bullets to eliminate Ito Hirobumi, having King Kojong as a master and Kim Doo Song as a bridge between the king and himself. To sum up, the truth about Kim Doo Song ends up with huge difference on translations of An's deed. Shin Woonyong demonstrates how Martyr An Jung Guen completes consistency of
his idealogy and action.
Another issue is his relation to DaDongGongbosa. Shin Yongha views Dadonggongbosa supported An Jung Guen, whereas Shin Woonyong insists he had done it by himself with Woo Dok Soon behind.
The study about An Jung Guen's ideolody is centered on his background thoughts of elimination of Ito Hirobumi and theory of Eastern peace. The former was lightened by Catholic historians translating An's religious faith; Shin Woonyong and Hwang Jongryol insist he had done it to submit to Heaven's will. Rho Myonghwan insists An's theory of Eastern peace has its root on Catholic doctrines and is beyond the notion of nations. Choi Taewook also argues that theory of Eastern peace serves as a guide for to-be-built peace keeping system. Study seeking peace based on the theory transcends borders. Chinese and Japanese researchers also join: Seo Yong, Eiji Makino and so on.
The study on 'An Jung Guen's foreign perception' is mainly about his ideas on Japan, which remains controversial within academi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안중근 관계 사료의 현황
Ⅲ.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Ⅳ. 안중근의 사상
Ⅴ. 안중근의거의 국제 정치적 배경·인식·재판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