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3
- 영문명
- A Study on School Violence Polic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윤기(Park, Yun Ki)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券 第4號, 179~2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년 대구ㆍ경북지역에서 8명의 학생들이 학교폭력으로 자살을 하였다. 국민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였고, 학교폭력은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시ㆍ도교육청 및 지역사회는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관련 정책을 추진하였다. 정부는 소년법과 초ㆍ중등 교육법이 있음에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하여 2004년 1월 29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시ㆍ도교육청은 학교폭력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Wee 프로젝트 추진,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지원, 교직원 대상 학기별 1회 이상 학교폭력예방연수 의무화, 배움터 지킴이 배치, CCTV 설치, 전문상담교사 배치, 친한 친구 교실 등을 운영하였고, 지역사회는 원스톱지원센터 설치, 피해학생 서포트 제도 등을 지원하였다. 금년에는 학교폭력 피해실태조사, 생활기록부 기록, 복수 담임제 실시, 체육수업의 확대, 전문상담사 확대 등의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법률과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에도 학교폭력은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즉,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일괄적으로 추진하는 정책과 시ㆍ도교육청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정책 등으로 혼재되어 일선학교와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분명하게 보인다. 정책은 ‘지속가능성’과 ‘활성화’에 있다고 사료되는바, 지금까지 추진해오던 학교폭력 정책 중 문제점이 발생하면 회의 및 토론회를 거쳐 수정되어야 한다. 나아가 ADHD와 같은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가해학생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인 ‘재활학교’ 설립과 학교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배움터 지킴이’제도 확대는 시대적 흐름이다.
영문 초록
This year, eight students decided to kill themselves due to the violence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People were greatly shocked that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s promoted several relevant policies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for the past few years. The government enacted the Juvenile Act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on January 29th, 2004 as a law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s created a special department to address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call the Wee project, It supported alternative education, Also, teachers must attended seminars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e schools installed CCTV, The school hired professional counselors and school police. And the schools will do many other things. Schools are promoting these laws, because school violence is becoming a bigger social problem.
In other words, it is clear that the policies promot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et al, will try to do this smoothy with good communication with schools. If there are more problems with school violence, policies must be made though meeting and discussions. Furthermore, if a student suffers from a mental illness such as ADHD, the school should try to help that student with treatment.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학교폭력의 개념 및 선행연구
Ⅲ. 학교폭력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Ⅳ. 학교폭력 정책의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ACUM 분석을 통한 경찰경호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방선거 후보자 수행경호원의 경호ㆍ비서기법 향상 방안
- 다문화시대의 범죄예방을 위한 사법정책변화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집회ㆍ시위 채증활동 강화 방안
- 협력치안을 위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외국사례를 통한 민간조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사이버범죄에 대한 인식유형분석 및 경찰의 정책대응 방안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빌딩의 테러예방에 관한 연구
- 공경호기관 구성원간의 업무능력 차이
- 학교폭력 대응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미국 민간조사산업의 특징 및 함의
- 학교생활 적응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