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4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rivate Security Guards’ Perception according to Job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성수(Park, Seong Su) 김미선(Kim, Mi Seo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券 第4號, 153~1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에 종사하고 있는 경비원들이 생각하는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러한 환경으로부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는 편의추출을 통하여 현재 서울지역 민간경비업체에 재직하고 있는 경비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중 유효한 설문지 149부를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조직몰입은 개인과 조직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며, 조직몰입 정도는 개인차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개인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선정하여 직무 환경에 따른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환경 요인 중 상사와 동료직원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조직몰입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민간경비업체에서는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가 조직몰입에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직무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 상사와 부하간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며, 또한 동료들과의 상호협조와 원만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개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security guards, who are involved in a private security firm, of their job environment, and to inquire in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such an job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n effort to verify the subject of inquiry, this study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200 security guards currently working for private security firms in Seoul district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used the collected 149 copies of questionnair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cates the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an organization,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cates the conflicting result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equent on job environment by selec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a control variable.
The result of analysis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ior and co-workers had an influence on form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 research result implies that a private security firm are required to percei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ior and co-workers is a major factor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job commitment, there needs to be some feedback between a supervisor and subordinates at a workplace, and also more opportunities need to be prepared for exchanging individual views in order to maintain mutual cooperation and smooth relations with colleagues.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ACUM 분석을 통한 경찰경호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방선거 후보자 수행경호원의 경호ㆍ비서기법 향상 방안
- 다문화시대의 범죄예방을 위한 사법정책변화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집회ㆍ시위 채증활동 강화 방안
- 협력치안을 위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외국사례를 통한 민간조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사이버범죄에 대한 인식유형분석 및 경찰의 정책대응 방안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빌딩의 테러예방에 관한 연구
- 공경호기관 구성원간의 업무능력 차이
- 학교폭력 대응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미국 민간조사산업의 특징 및 함의
- 학교생활 적응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