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치안을 위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1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Police Cooperative Groups for Cooperative Policing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용태(Kim, Yong Tae)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券 第4號,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각종 범죄가 잔인화, 지능화, 교묘화, 광역화, 묻지마 식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빠르게 대응하고 검거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지역경찰은 인력과 예산, 장비가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현대사회의 복잡한 치안환경 수요에 경찰력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치안인프라 확충에는 국가예산의 조정 등 재정문제로 인해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 또한 아니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경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협력치안의 중요성에 대해 경찰도 인식하고 있으며, 협력치안에 있어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경찰협력단체라 할 수 있다. 경찰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협력치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효과는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의 다양한 협력치안 형성관계 중에서 경찰협력단체의 활동 목적별 분류를 통해 나타난 경찰협력단체의 실태를 분석하고 범죄예방적 측면에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날로 증가하는 범죄발생으로부터 주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경찰협력단체의 활동목적별ㆍ고객(주민)지향적 협력단체로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경찰과 협력단체간의 신뢰강화, 셋째, 지역주민이 공감하는 경찰협력단체 활동전개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에 주력해야 한다는 내용의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crimes become more violent, more intelligent, more sophisticated, more extensive, and more random, the local police who respond quickly and make arrests sufferlack human resources, budgets, and equipment. Furthermore, the police alone are not enough to meet the demand of the complex policing environment in today’s society. Expanding policing infrastructure, however, requires more than just piecemeal solution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such as national budget adjustments. The police are also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polic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lice forces in a practical way, and it is police cooperative group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cooperative policing. Cooperative policing comes in a variety of forms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cy of police forces, but has little or no practical effe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solutions to promote police cooperative groups in terms of crime preven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police cooperative groups present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ose groups by purpose among various cooperative policing relationships. Thefollowing are the solutions proposed in this study to promote police cooperative groups.
Firstly, police cooperative groups should become customer-/resident-oriented groups classified by purpose to protect their safety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crimes. Secondly, the police and cooperative groups need to build trust in their relationship. Thirdly, the study proposes a solution that police cooperative groups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activities with which residents can identify.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기초논의
Ⅲ. 경찰활동 목적별 협력단체의 실태분석
Ⅳ. 경찰 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Ⅴ. 결론 :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ACUM 분석을 통한 경찰경호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방선거 후보자 수행경호원의 경호ㆍ비서기법 향상 방안
- 다문화시대의 범죄예방을 위한 사법정책변화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집회ㆍ시위 채증활동 강화 방안
- 협력치안을 위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외국사례를 통한 민간조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사이버범죄에 대한 인식유형분석 및 경찰의 정책대응 방안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빌딩의 테러예방에 관한 연구
- 공경호기관 구성원간의 업무능력 차이
- 학교폭력 대응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미국 민간조사산업의 특징 및 함의
- 학교생활 적응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