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경호기관 구성원간의 업무능력 차이
이용수 141
- 영문명
- Ability Differences Among Members of Public Security Agencies Work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동제(Kim, Dong-Je) 김화수(Kim, Haw-Su) 조성구(Jo, Sung Gu)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1券 第4號, 3~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1년 2월 초부터 2012년 5월 말까지 약 14개월간 공경호기관에서 5년 이상의 경호전담 근무경험이 있거나, 현재 경호를 전담하고 있는 대통령실 경호처 소속 경호관, 22 경호대경찰관과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전직대통령 경호대, 국무총리 경호대, 국회의장 경호대, 신변보호대, 외빈경호대, 경찰특공대 경호지원 경찰관으로 근무하고 있는 공경호원 총 50명을 질적 연구방법 중 반구조화 된 심층면담 기법을 사용하여 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비수량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NVivo 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경호원의 경호임무 수행에 있어서 공경호원의 개인 차이의 유형을 살펴보면 경호기법 선택의 차이 29(35.8%), 예방경호 능력의 차이 13(16.0%), 경험에 의한 차이 11(13.5%), 직위에 의한 차이 8(9.8%), 충성심에 의한 차이 8(9.8%), 사격과 무도 능력에 의한 차이 6(7.4%), 채용 직군에 의한 차이 4(4.9%), 생각과 판단에 의한 차이 3(3.7%)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경호원의 경호임무 수행에 있어서 공경호원의 개인 차이 미존재 유형을 살펴보면 경호업무매뉴얼 준수에 의한 차이 없음이 28(68.3%), 채용시험과 보수교육의 동일에 의한 차이 없음이 13(31.7%) 순으로 범주화되었다.
영문 초록
To perform the research, September 2011 of Since the beginning until the end of December 2011, approximately 14 months 50 people who have at least 5 years of security guard experience at public security service, current security guards at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police force security in S.W.A.T, police officers in 22nd security team, formal police officers at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security guards in prime minister security team, security guards in National Assembly Speaker security team, personal security guards, or security guards from security team of foreign affairs were selected. Semi- in-depth interview out of qualitative methods was applied in this study. NVivo 8 software program has been applied to analyze non-quantitative data.
To result, individual difference during performing security missions were analyzied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difference in security technique choice 29(35.8%), difference in ability of preventive security 13(16.0%), difference in experience 11(13.5%), difference in rank at work 8(9.8%), difference in loyalty 8(9.8%), difference in ability of shooting and martial art 6(7.4%), difference in categories of employment 4(4.9%), difference in thinking and judgement 3(3.7%). There were no individual difference in compliance of security manual 28(68.3%), or identification of employment test and continuing education 13(31.7%) during performing security mission.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ACUM 분석을 통한 경찰경호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방선거 후보자 수행경호원의 경호ㆍ비서기법 향상 방안
- 다문화시대의 범죄예방을 위한 사법정책변화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집회ㆍ시위 채증활동 강화 방안
- 협력치안을 위한 경찰협력단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외국사례를 통한 민간조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사이버범죄에 대한 인식유형분석 및 경찰의 정책대응 방안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에 따른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빌딩의 테러예방에 관한 연구
- 공경호기관 구성원간의 업무능력 차이
- 학교폭력 대응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미국 민간조사산업의 특징 및 함의
- 학교생활 적응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