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장식의 미(美)적 표현 연구
이용수 248
- 영문명
- A Study of Aesthetic Expression of Body Ornaments -focusing on the film 'Apocalypto'-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노효경(Hyo-Kyung R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3권 제4호, 211~2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of aesthetic body ornaments based on the data in a film and evaluate its symbolic meaning. The aesthetic expression of body ornaments in the film can be summarized into ‘grotesque’ and‘ erotic.’ In terms of characteristics, ‘grotesque’ reveals incantation, ostentation and resistance while ‘erotic’ includes primitive, mysterious and ornamental expressions. By decorating the body using various techniques (ex: deformation, ostentation, enlargement, tattooing, piercing, painting, etc.), it becomes valuable in terms of aesthetic beauty with power, courage, sexual desire, body protection and incantatory thinking. This kind of bold body ornaments based on narcissistic desire has included it within beauty domain. Recently, the domain of body ornament-based aesthetic expressions has expanded from the dark and shallow culture into popular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trend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ody art and fash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영화 ‘아포칼립토’에 나타난 신체장식 분석과 미적표현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측백 잎 추출물의 육모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 바디페인팅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평가
- 아트헤어디자인에 표현된 골계미
- 제주도 여성의 보브스타일 선호도에 대한 연구
- 향수에 표현된 이미지 스케일링에 관한 연구
- 신체장식의 미(美)적 표현 연구
- 헤어디자인 요소별 남성 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
- 미용실 유형에 따른 헤어 컷 시술의 서비스 기대요인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 차이에 관한 분석 연구
- 미용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소상공인 피부미용샵의 경영자 특성에 따른 성과 연구
- 韓 · 日 웨딩 헤어스타일의 비교 연구
-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의 헤어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 미용전공 학생들의 성격유형별 외모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의존성에 관한 연구
- 실버세대 여성의 립 메이크업 제품 개발을 위한 사용실태 및 선호색상 조사
- 여대생의 네일 컬러링 구매행동
- 아트메이크업과 해체적 시각에서 본 이미지 변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