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the Clinical Efficacy on Hair-Growth Effect of Leaves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L.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동섭(Dong-Sub Park) 이재숙(Jae-Sug Lee) 이정현(Jeong Hy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3권 제4호, 93~10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opecia is a common form of hair loss in both male and female, affecting approximately ten million Koreans. In this study, we were conduct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efficacy of leaves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L. in the treatment of hair loss. Eleven subjects suffering from hair loss were recruited and mad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hair condition, beginning age of hair loss and type of hair loss of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T. orientalis extract (2.4 g/day) for 3 months while the control group took a placebo. The changes of hair loss were evaluated with diagnostic machine of hair skin (Dino-Lite), and clinical photographs were taken by digital camera (SONY DSC-W170).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 orientalis extract effectively decreased hair loss. Evaluation of photographs by dermatologists also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 orientalis extract in the treatment of hair los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applying the T. orientalis extract in hair loss treatment and thereby effectively address hair loss with a more natural substan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대생의 네일 컬러링 구매행동
- 미용실 유형에 따른 헤어 컷 시술의 서비스 기대요인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 차이에 관한 분석 연구
- 미용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조사 및 활성화 방안
- 소상공인 피부미용샵의 경영자 특성에 따른 성과 연구
-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의 헤어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 향수에 표현된 이미지 스케일링에 관한 연구
- 제주도 여성의 보브스타일 선호도에 대한 연구
- 측백 잎 추출물의 육모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 실버세대 여성의 립 메이크업 제품 개발을 위한 사용실태 및 선호색상 조사
- 미용전공 학생들의 성격유형별 외모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의존성에 관한 연구
- 韓 · 日 웨딩 헤어스타일의 비교 연구
- 신체장식의 미(美)적 표현 연구
- 바디페인팅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평가
- 아트헤어디자인에 표현된 골계미
- 헤어디자인 요소별 남성 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
- 아트메이크업과 해체적 시각에서 본 이미지 변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