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2
- 영문명
- A Study on Acculturat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for the Mother in Multi-cultural Family Who Has the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경(Kim, Hyun-Kyoung)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4권 2호, 27~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문화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서울•경기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 5세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부모 167명을 대상으로 연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 중‘통합’수준이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동화’나‘분리’,‘주변화’수준은 중간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변인에 따른 문화적응 중‘동화’유형은 남편의 직업과 학력, 출신국적, 월평균수입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분리'유형에서는 남편의 직업, 학력과 본인의 출신국적과 직업, ‘통합’ 유형에서는 본인의 직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주변화' 유형에서는 남편의 직업과 학력, 본인의 출신국적과 본인 직업, 가정의 월평균수입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은 사회적 지지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화적응에 있어서도 사회적 지지가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이 유아교육의 새로운 부모집단으로써 이들의 적응을 돕는 유아교육기관 중심의 교육적 지원이 뒤따라야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acculturat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for the mother in multi-cultural family who has the young children. Accordingly, I have investigated 167 par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the 3 to 5 years old children who are attend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younger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tegration' level, one of the types of acculturation of the mother in multi-cultural family, is higher than the medium, but 'assimilation', 'separation' or 'main shift' level is a little lower than the medium. Among the factors of accultur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the type of 'assimilation' has difference in the occupation of their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original nationality, monthly income and so on. In addition,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ype of 'separation'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their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original nationality and their own jobs and so forth. In the type of 'integration'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own jobs. Finall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ype of 'main shift'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their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original nationality, their own jobs,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so on. The acculturation of the mother in multi-cultural family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and the social support is also the influential factor of acculturation. This result imply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younger children should support, in particular, in the center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younger children, for the new group of par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educational asp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