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경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만 3세아 중심으로
이용수 744
- 영문명
- The Effect of Slope Activity in Constructivist Science Education 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Focusing on 3 Year 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만(Lee, Young-Man) 홍경란(Hong, Kyung-Ran) 원혜경(Won, Hye-Kyung)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4권 1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능력 향상을 위해 물리적 지식활동 중 3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경사활동을 적용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만3세아 10명으로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는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에 참여한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의 차이가 실험집단 7.13( SD=1.43), 통제집단 .47( SD=.90)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8)=6.67, *** p<.001). 즉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으며. 둘째,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의 유아의 과학적 태도는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의 차이가 실험집단 7.60( SD=2.27), 통제집단 1.10( SD=1.24)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8)=5.61, ** p<.001). 즉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For this research, 10 kid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5 kids of a controlled group age of 3 were observed to fin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slopes for the purpose of intellectual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kid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Firstly, kid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higher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Kid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using the slope were 7.13( SD=1.43) for experimental group and .47( SD=90) for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8)=6.67,*** p<.001). Thus it showed firstly, significant evidence that activities using slopes has positive effect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econdly scor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using the slope were 7.13( SD=1.43) for experimental group and .47( SD=90) for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8)=6.67,*** p<.001). In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physical activities using slopes for the purpose of intellectual development a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kid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