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6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Mother’s Views on Education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Attitudes and the Child's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옥순(Park Ok-Soon)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4권 1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어머니들의 교육관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유아의 자아 존중감 형성에 필요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정립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어머니의 교육관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의 유아 중심적 교육관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올바른 자녀교육관 확립을 위해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어머니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others’ views 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heir child rearing attitudes and the child's selfesteem. This research aims at acknowledging the tendency of mothers’ views on education as well as rearing attitudes, working out their roles to help building up child’s selfesteem,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views 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rearing attitud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meaning the more child oriented education mothers pursue, the mor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their rearing attitudes becom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views 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child's self-esteem, did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the child's selfesteem did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 Mother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rom low to high depending on the marks of their views on education, and each group has been surveyed in terms of how parents’ views on education as well as their rearing attitudes influence over the child's self-esteem respectively, and the influence of mothers’ views on education to their rearing attitudes. It is summarized that educational program and sustainable education for parents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mothers’appropriate views on education and rearing attitud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