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이용수 902
- 영문명
-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주(Jung, Eun-Joo)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4권 1호,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비판적 관점에서 다문화주의의 담론들을 분석하고 다문화 담론에 매몰된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통해 교육의 방향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필요성과 연계시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교육적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은 첫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지식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삶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성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교사는 첫째, 정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 및 자료의 선택을 폭넓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적 감각을 지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 스스로가 능동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to discuss some issue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re buried in the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by investigating the preceding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designed to provide a new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connec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with the need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rough such discussions.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re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a variety of knowledge can be experienced,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in the context of life and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encourages the way of critical thinking about diversity. For this, teachers who approach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first, need to be honest, second, need to consider a wide sel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third, should have a cultural sense. Lastly, teachers need to be activists by themselves.
목차
Ⅰ.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주의와 유아 다문화교육
Ⅱ.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다양한 담론들
Ⅲ. 비판적 관점으로 본 유아 다문화교육
Ⅳ. 유아교육과정에서 비판적 관점으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