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2 Learners’ Language Anxiety and Proficiency
이용수 37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Jeehwan Yun Hyang-Jin Soh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9 No.3, 81~1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L2 anxiety and language proficiency in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and learners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It attempts to understand how differently the two language groups perceive L2 anxiety in the different language learning contexts with respect to learner variables such as gender, major, and school year. Twenty-nine KFL and nineteen ESL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completed Foreign Language Anxiety Scales and a background questionnaire. For research analyses, MANOVAs and ANOVA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means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overall anxiety and four types of anxiety such as speaking anxiety, low self-confidence, native speaker anxiety, and foreign language test anxiety.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language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language proficiency and observed as a distinctive variable across the two groups; the KFL group had higher overall anxiety than the ESL group. With respect to speaking anxiety, the ES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peaking anxiety score than the KFL group. ESL females, language/education, and freshme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For pedagogical implications, it is important that L2 educators create less threatening classroom environments with more st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giving rather small, intimate collaborative group work than competitive individual tasks in class, especially for females, freshmen, and language major students in the second language contex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대학생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좌석의 관계성 연구
-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제안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이용한 비즈니스 중국어 수업 모형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2 Learners’ Language Anxiety and Proficiency
- 통제작문의 반복형성평가를 사용한 교사 피드백이 학습자의 문법구조 사용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영어사교육 참여 및 영어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변인분석
-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Malay Language among Korean Learners
- 예비 영어 교사의 영어 수업 진행 능력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by Teacher and Peers in an EFL Classroom
- Project-based Grammar Instruction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
- 성공적인 이러닝 영어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 연구
- The Comparative Analysis on Students’ Perception about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 초등영어 학습자와 교사가 인식하는 불안감
- 초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 피드백 유형이 성인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 블렌디드러닝 기반 음운 인식 활동을 통한 초기 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