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당화과정 중 백미와 현미 식혜의 성분 및 형태 변화
이용수 204
- 영문명
- Changes of Components and Morphology of Milled Rice and Brown Rice Sikhe during Saccharifica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전은례(Eun-Raye Jeon) 김경애(Kung-Ae Kim)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家政科學硏究 第8輯, 68~7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식혜제조과정 중 아밀라아제 활성은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혜액의 당도는 당화시간이 정과하면서 증가하여 백미 식혜액의 경우 3.6°에서 8시간 당화 후 10.8°로. 현미 식혜액의 경우 3.6°에서 10시간 당화 후 9.7°로 변화하였다. 식혜액의 총 당은 백미의 경우 4.90%에서 8시간 당화 후 9.07%로 증가하였고. 현미는 10시간 당화 후 2.62%에서 8.11%로 증가하였다. 식혜액의 환원당도 백미 식혜액의 경우 3.58%에서 8시간 당화 후 7.71%로 증가하였고. 현미 식혜액의 경우 1.83%에서 10시간 당화 후 7.34%로 증가하였다. 식혜액의 pH는 당화 1시간에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감소하다가 4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식혜밥알의 형태는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수 분해에 의해 전분립이 빠져 나와 구멍이 점점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당화과정 중 아밀라아제 활성, 당도. 총당과 환원당은 백미 식혜의 경우 현미 식혜의 경우보다 약 2시간 정도의 차이로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식혜밥알의 형태 변화도 같은 양상이었다.
영문 초록
The amylase activity of milled rice and brown rice sikhe were decreased as saccharification time was processed during saccharification. Brix of sikhe made of milled rice increased from 3.6° to 10.8° after saccharification for 8 hrs, and that of sikhe made of brown rice increased from 3.6° to 9.7° after saccharification for 10 hrs. The sikhe saccharified at 60℃ for 8 and 10 hrs. showed that total sugar was increased from 4.90 to 9.07% in milled rice, from 2.62 to 8.11% in brown rice and reducing sugar was increased from 3.58 to 7.71% in milled rice, from 1.83 to 7.34% in brown rice. But pH of sikhe juicy was de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ime increase and then little changed after 4 hrs. SEM and TEM clearly showed that the starch granule were disappeared from endosperm cell leaving cellular materials. Changes of components and morphology of milled rice sikhe was processed quickly more than that of brown rice about 2 h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