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천주교 사제 전례복에 관한 연구
이용수 67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Priest’s Ceremony Costumes in Korean Catholic Church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류지효(Jihyo Ryu) 김용서(Yongseo Kim)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家政科學硏究 第8輯, 102~11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perfectly Korean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introdudion of Catholicism to Korea in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s, and relationship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emphasizes investgatigating the meaning of symbol and the course change in ceremony costumes and considering the opinion of Priests on the subject.
Korean Catholic Church’s ceremony costumes tend to simplify in thier kinds and wearing mothod and are being fixed into Korean style. Pope Paul Ⅱ was donated Woun-Mun-Dan imperial robe chasuble in memory of his visit to Korea in 1984. And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materials are used in making Korean Catholic ceremony costumes.
In survey for chasublization of PO. the result showed that 65~70% of priests in Kwang-ju area agreed to use PO as a chasuble. Assuming that the meaning of ceremony costume is not changed, it was suggested that traditional Korean pattern and dye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to ceremony costumes.
From the results, it is thought that chasublization of PO will be in the near future. Catholic ceremony costumes should be settled suitable to cultural feeling of Korean. Furthermore, costume researchers should have interest in ceremonial costumes and make efforts to suggest new id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 천주교의 통시적 개관
Ⅲ. 천주교 전례복의 개관
Ⅳ. 韓國 天主敎 典禮服의 變遷
Ⅴ. 韓國 天主敎 典禮服의 土着化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