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ism in 15, 16th Century
- 발행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항수(Kim Hang Soo)
- 간행물 정보
- 『人文學硏究』第13輯,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neoconfucianism was received in 14th century and popularized in 15, 16th century. The Chosun scholars interpretated the Classical Canon and made researches in the neoconfucianism, so the Chosun neocofucianism was formed.
A lot of the Classical Canon was published and the scholars researched the Chu Tzu's theory and neoconfucianists. Especialy Jujadaejun(朱子大全), Chu Tzu's writ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cademic world. So many books with notes was writed, Sohakjipju(小學集註), Jujaseojulyo(朱子書節要) and others. The Classical Canon,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that Chu Tzu reinterpretated, was translated Chinese into Korean. Lihaktongrok(理學通錄), Lee Hwang writed, and Sunghakjipyo(聖學輯要), Lee yi writed, were the typical books at that time.
As a result, the Chosun neocofucianusm was formed in late 16th century and the people were under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f neocofucianism.
목차
1. 머리말
2. 小學의 연구
3. 性理大全과 朱子大全의 연구
4. 四書의 해석
5. 성리서의 해석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