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돌보미 역할에 대한 인식

이용수  296

영문명
The Attitude of the Care-assistant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Roles of the Care-assistant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미숙(Lee, Misu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1호, 181~2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돌보미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아 돌보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전국 17개 시·도의 사업운영기관 중 한곳을 제외한 16개 기관에 소속된 장애아 돌보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는 장애아 돌보미로 새롭게 신청한 신규 장애아 돌보미 151명과 장애아 돌보미로 활동하고 있는 현행 장애아 돌보미 162명으로, 총 31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규 돌보미와 현행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는데, 신규 돌보미보다도 현행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보다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보미의 성별, 종교유무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교육정도, 가정 월소득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돌보미 신청 전 장애아 돌봄에 대한 경험 유무와 돌보미 활동 기간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애를 지닌 가족이나 지인 유무와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아 돌보미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장애아 돌보미 신청 전 장애아 돌봄에 대한 경험 내용, 장애아 돌보미의 가장 실제적 역할, 장애아 돌보미의 가장 중요한 역할, 장애아 돌보미 활동을 통한 이점, 장애아 가족과의 관계에서 가장 염려되는 부분, 장애아 돌보미 교육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 내용, 그리고 장애아 돌보미로서의 요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care-assistant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care of the children. Among 17 organizations managing the care-assistants, 1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us, 151 new care-assistants and 162 current care-assistants participated, so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were 313.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ttitude score of the new and current care-assistants was about the medium level, but the attitude of the current care-assistants was more negative than that of the new care-assistants. Second, sex and religion of the care-assista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ag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the previous experience on c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period as a care-assista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xistence of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perception on c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revious experience on c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oles of the care-assistant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care assistants, the contents of education or training for the care-assistants, and the needs of the care-assistant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숙(Lee, Misuk). (2012).장애아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돌보미 역할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7 (1), 181-207

MLA

이미숙(Lee, Misuk). "장애아 돌보미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돌보미 역할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7.1(2012): 181-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