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vindication for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for the applica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근(Choi, Jong-Ke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1호, 119~1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등의 고등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지난 18년간 시행되어 온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의 적절한 전형 명칭이 무엇인지 밝히고, 장애 1~3급으로 지원자격을 제한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정당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문헌 분석을 통하여 특별전형의 개념,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의 도입 배경 및 경과, 교육기회 배분의 교육정의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중요한 법적·제도적 변화를 기준으로 3개의 시기로 나누고, 그 성격이 조금씩 변화되어 왔음을 밝혔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최근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미래 특수교육의 실제를 전망하면서 ‘장애인 등을 위한 특별전형’ 등과 같은 보다 미래지향적인 전형 명칭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롤즈의 사회정의론과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에 입각하여 일부 대학의 장애 1-3급으로의 특별전형 지원자격 제한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 다음, 장애 4-6급 지원자에 대한 기회균등의 원리가 실질적으로 작동될 것을 전제로 그러한 지원자격 제한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suggest appropriate name of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justify the policy of restricting the qualification for admissions to a college to disability severity level 1~3.
To this purpose, the legislative bases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were reviewed. And the sociological and/or educational justice of the restrictive qualification policy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tc.” was suggested for
appropriate name of the special admiss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coincide with the present college admission condition. And the restrictive qualification policy can be justified only when the principle of the equality of opportunity for all the applicants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are guaranteed.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