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청소년과 교사간의 평가차이 및 관련변인

이용수  346

영문명
Discrepancies between Adolescent and Teacher Assessment on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연(Lee, Su-youn) 이승희(Lee, Seungh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1호, 63~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출시된 K-YSR과 K-TRF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자신과 교사간 평가차이와 그 차이에 관련된 변인들(학생성별, 학생성적, 학교급별, 교사성별, 교사경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G시 소재 중•고등학교의 담임교사 가운데 목적표집한 교사 12명과 해당학급 학생 443명(중학생 220명, 고등학생 223명)이었다. 표집된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전량이 회수되었으며(회수율: 100%) 모두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문제행동은 청소년자신의 평가점수가 교사의 평가점수보다 높았으며 외현화문제는 청소년자신의 평가에서 임상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재화문제에서는 교사경력 1-10년인 경우가 11-20년인 경우보다 그리고 외현화문제에서는 중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더 큰 점수차이를 보였고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문제행동 모두에서 중학교의 경우 남교사보다 여교사의 점수차이가 더 큰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 여교사보다 남교사의 점수차이가 더 컸다. 셋째, 외현화문제에서 학생성적이 낮을수록, 학교급별이 낮을수록, 교사경력이 낮을수록 점수차이가 더 커지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학생적과 학교급별은 점수차이의 예측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여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성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관련연구 및 과제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screpancies between adolescent and teacher assessment on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 (student gender,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grade, teacher gender, teacher career) by using K-YSR and K-TRF which were recently developed. To do this, 443 adolescents(22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3 high school students) and 12 teachers(6 middle school teachers and 6 high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ll of 886 returned questionnaires(443 from adolescents and 443 from teachers)(return rate: 100%) were used for data analyses and the data analyses revealed results as follows: 1) In total problems, adolescent's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eachers and in externalizing problems, clinical rate in adolescent's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in teacher's assessment; 2) 1-10 years of teacher career in internalizing problems and middle school(9th grade) in externalizing problems exhibited bigger score difference than 11-20 years of teacher career and high school(11th grade) respectively and in all of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total problems, whereas in middle school score difference of female teacher was bigger than that of male teacher, in high school score difference of male teacher was bigg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 3) in externalizing problem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grade ha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score differenc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earch and finally, conclusions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ask were presented.

목차

<요 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연(Lee, Su-youn),이승희(Lee, Seunghee). (2012).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청소년과 교사간의 평가차이 및 관련변인. 특수교육학연구, 47 (1), 63-85

MLA

이수연(Lee, Su-youn),이승희(Lee, Seunghee).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청소년과 교사간의 평가차이 및 관련변인." 특수교육학연구, 47.1(2012): 6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