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엘리아데와 환상
이용수 383
- 영문명
- Eliade and the fantasy - focus on the his early fantasy literature -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한성숙(Han, SeongSuk)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9권, 165~1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2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엘리아데의 연구는 대부분 종교 철학 분야로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엘리아데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그의 본질적인 문학세계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하나만 알고 둘은 알지 못하는 격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학자로 알려진 세계적인 석학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문학을 소개하고 특히 그의 초기 환상문학의 특징과 그의 문학이 지닌 본질적인 부분을 밝히고자 한다.
엘리아데 초기 환상문학은 초현실적 요소가 개입하는 비의(秘儀)의 세계를 인식하고 우리 눈으로는 인지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이 세계에 위장된 또 다른 세계의 ‘폭로’로 그 의미가 확장된다. 문학은 종교와 마찬가지로 초자연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공간 속에 인간의 실재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그 실재 경험은 루마니아 민속과 인도의 신비로움의 환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상’은 속(俗)의 반대 개념인 성스러움(聖)의 의미로 초경험적 대상을 포함한 주체의 통일을 실현하는 경험이라 할 수 있다.
엘리아데는 소설 속에서 ‘환상’을 통한 위장(camuflaj)된 성스러움과 그 위장 안에서 인간 조건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려고 애썼다. 왜냐하면 초역사적인 것은 항상 역사적인 것 속에, 초일상적인 것은 일상적인것 안에 감추어진 채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엘리아데의 확신에서 그의 환상 소설이 단지 도피주의가 아닌 ‘창조(creaţa)’의 의미로써 가치가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about Eliade have been limitedly related to his religious philosophy field. However, in order to study Eliade entirely the study should be preceded by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world. Accordingly I would like to introduce Eliade, known as the world’s leading religious scholar, and his fantasy literature, especially to explain the literary features and the values in his literature.
In Eliade’s early fantasy literature, it is recognized a magic world where surrealistic element appear, and it is expanded into another parallel world that our eyes can not perceive and which is camouflaged in this world. As religion, literature is represe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umankind in this world where the supernatural elements exist. This experience could be called a ‘fantasy’ like in Rumanian folklore or mysticism in Indian conception. However, the term ‘fantasy’ has a meaning of sacred as opposed to profane, and it could be mentioned that through experience the unification of subject including the super-empirical object is realized.
Eliade always tried to camouflage the fantastic within ordinary daily life in his literature. Moreover, he made efforts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human condition in this camouflage, because he believed that trans-history is always camouflaged in history, and the extra-ordinary in ordinary. Eliade strongly believed that his fantastic literature is not just a escapism but is as valuable as a ‘creation’. Although most of the studies about Eliade are biased more on religious ideas, I hope you can discover in this paper precisely the objective conception through the study of his fantastic literature.
목차
〈국문 개요〉
1. 머리말
2. 엘리아데와 환상
3. 비의(秘儀)의 세계
4. 평행한 또 다른 세계의 ‘폭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민속학: 소련의 스탈린 시기를 중심으로
- 이르지 볼케르(Jiří Wolker)의 사회 발라드와 임화(林和)의 단편서사시 비교연구
- 엘리아데와 환상
- Script as a "Visible speech" and the development of scripts between a myth and reality
- 우크라이나 미래주의의 이념과 미학
- 헝가리어 동사 이중굴절체계에 대한 연구
-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 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 불가리아 중등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사료 조사 분석 연구
- 외르키니 이쉬트반(Örkény István)의 『토트씨네(Tóték)』에 나타난 양면적 기법으로서의 그로테스크와 아이러니
- 러시아의 자연환경과 인문공간의 성격
- Folklore, Ethnocultural and Ethnomental Elements in New Poetic Coinages of Ukrainian Working Migrants in Italy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