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이용수 779
- 영문명
- Recept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Poland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최성은(Choi, SungEun)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9권, 107~14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25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대중문화가 K-pop을 필두로 아시아를 넘어 유럽 시장에서까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지금, 이 논문은 중동부 유럽 진출의 교두보라고 할 수 있는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씌어졌다.
21세기에 한국의 대중문화가 폴란드에서 어떻게 향유되고 소비되고 있는지, 또 앞으로 폴란드에서 본격적인 한류 열풍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지를 진단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를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로 한정하고, 그 중에서도 3개 영역(영화, TV 드라마, pop music)을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폴란드에서의 수용 현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타진하는 동시에 폴란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바람직한 홍보 전략에 대해 제안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roduces how those Korean pop cultures are evaluated and appreciated among Poles and what the future prospects are. This paper mainly covers Korean pop culture, especially the following three areas: movie, TV drama and pop music.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the fastest growing genre among Korean cultural contents is pop music. Pop music is easily accessible through internet sites like You Tube or other MP3-file downloading websites, and it can appeal to many audiences who even do not speak Korean language or have no cultural background. Korean pop music is expected to attract more fans going forward. However, it is doubtful the popularity of Korean pop music can spread to the middle-aged considering it’s recent trend of craze for idol groups. In addition, for such popularity to continue to spread there should be more concerts held in Poland.
In terms of TV drama, it would be challenging to attract Polish audience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s we can confirm in most European countries. Since TV drama series consist of many episodes unlike movies, well-planned strategy is needed to appeal audience in its beginning. It is crucial to choose a TV drama which most Poles with no background on Korean history or culture can easily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What’s more, accurate translation is also important to convey its story in an efficient way. Once a drama is selected, deciding airing time based on the ages of main viewers and advertizing it to the specific target viewers are also very important.
As Korean movies have received awards several times at the film festival in various areas of Europe in 2000s, Korean movies with high artistic value were continuously screened in Poland through four major film festivals. However, most of them were the works of Korean high-profile and award winning film makers such as Park Chan-Wook, Kim Ki-Duk, Bong Jun-ho, and Lee Chang-Dong.
And, except for 〈The Host〉, box office hits in Korea had been rarely introduced in Poland. It can be said that those who watch Korean movies in Poland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mania people. Many box-office-hit Korean movies needed to be introduced in Poland.
The gentle Korean breeze, blowing in Poland in occasionally stronger gusts, is still insufficient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tinctive image on Korean culture in Polish minds. Powerful media such as TV, radio and newspapers are almost empty of Korean cultural content, beyond images of Korean as “the nation divided by a Demilitarized Zone with the constant threat of a nuclear conflict” or “one of the Asian economic tigers conquering European markets.”
목차
〈국문 개요〉
1. 들어가는 글
2. 폴란드에서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 현황
3. 폴란드에서 한국 대중문화 수용 현황 및 전망
4. 폴란드에서 한류붐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 행사
5.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민속학: 소련의 스탈린 시기를 중심으로
- 이르지 볼케르(Jiří Wolker)의 사회 발라드와 임화(林和)의 단편서사시 비교연구
- 엘리아데와 환상
- Script as a "Visible speech" and the development of scripts between a myth and reality
- 우크라이나 미래주의의 이념과 미학
- 헝가리어 동사 이중굴절체계에 대한 연구
-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 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 불가리아 중등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사료 조사 분석 연구
- 외르키니 이쉬트반(Örkény István)의 『토트씨네(Tóték)』에 나타난 양면적 기법으로서의 그로테스크와 아이러니
- 러시아의 자연환경과 인문공간의 성격
- Folklore, Ethnocultural and Ethnomental Elements in New Poetic Coinages of Ukrainian Working Migrants in Italy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