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민속학: 소련의 스탈린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176
- 영문명
- Folklore as means of politics during the Stalin era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홍석우(Hong, Sogu)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9권, 239~2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2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련에서 민속 문화와 민속학은 정부에 의해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프로파간다로 사용되었다. 부르주아지와 부농계급의 사상을 담고 있다는 이유로 철저하게 거부되고 존재의 위협마저 겪다가, 정부와 당의 이데올로기 선전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 민속학자들은 정부로부터 계속해서 사상적 의심을 받았으며, 소비에트 이데올로기를 가르치는 교육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할 것을 강요받았다.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한 스탈린 시대의 민속학은 결국 ‘가짜 민속 문화’ (pseudo-folklore, fakelore)를 만들게 되었고 있는 그대로 대중의 문화를 사실적으로 수집, 보여주기 보다는, 이미 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상된 사회주의의 이상과 유토피아를 가짜 민속을 통해 보여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작된 민속 문화를 통해 스탈린과 소련의 지배층들은 어떻게 대중들의 사상을 통제하고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에 맞는 인간형을 만들어가려 했는가를 밝히고 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Stalin era in the Soviet Union, folklore was purposely misused to build communism and tear down the old system and values. In the beginning of the Soviet Union, folklorists could collect folk materials of their own ethnic groups from different areas to preserve the traditions of various ethnic peoples. However, when Stalin ascent to the throne, folklore was not the research area where folklorist pursue their pure academic enthusiasm. From the perspective of ruller, folklorists should participate in "creating a new culture" for Soviet Union. Thus they were asked to enlighten ordinary people with a new kind of folklore, that is "fakelore", which contribute to the propaganda of the Soviet ideology. Especially, during the World War II, folklore became useful tools of glorifying the lives of their leader, such as Stalin, and praising advanced socialistic ideology and technology. Throughout this study, we can learn how Soviet government use folklore as means of creating a new Soviet culture.
목차
〈국문 개요〉
1. 머리말
2. 상대적 자유 그리고 반동의 전조: 1917년 ~ 1930년대 중반
3. 민속학의 정치화: 1930년대 중반 ~ 제 2차 세계대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민속학: 소련의 스탈린 시기를 중심으로
- 이르지 볼케르(Jiří Wolker)의 사회 발라드와 임화(林和)의 단편서사시 비교연구
- 엘리아데와 환상
- Script as a "Visible speech" and the development of scripts between a myth and reality
- 우크라이나 미래주의의 이념과 미학
- 헝가리어 동사 이중굴절체계에 대한 연구
-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 포스트소비에트 조지아의 국가 건설
- 불가리아 중등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사료 조사 분석 연구
- 외르키니 이쉬트반(Örkény István)의 『토트씨네(Tóték)』에 나타난 양면적 기법으로서의 그로테스크와 아이러니
- 러시아의 자연환경과 인문공간의 성격
- Folklore, Ethnocultural and Ethnomental Elements in New Poetic Coinages of Ukrainian Working Migrants in Italy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