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鄭斗卿 挽詩 연구
이용수 603
- 영문명
- A Study of Jeong Du-Gyeong(鄭斗卿)’s Requiems(挽詩)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이남면(Lee, Nam-myon)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5輯, 239~27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정두경의 만시를 개괄하고 그 특징을 살핀 것이다. 그간 정두경시 연구가 어느 정도 진척되었음에도 만시 연구는 관심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다는 인식에 바탕한 것이다. 우선 정두경 만시의 대상은 왕실의 인물을 비롯해 정승ㆍ판서ㆍ功臣 등 신분과 지위가 높은 인물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 만시의 형식은 율시, 특히 오언율시가 가장 많았으며, 연작 형식의 작품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두경 만시의 내용은 크게 두 양상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먼저 ‘망자의 사회적 위상에 주목한 시’는 다시 망자의 신분과 지위 고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신분과 지위가 높은 인물의 경우 국가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이나 諫言한 것을 적극 칭양한데 비해 신분과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물의 경우 고을 수령으로서 善政을 펼쳤다는 점이나 재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칭송하되 懷才不遇의 안타까움을 담기도 하였다. 이 둘은 애도의 표현 역시 전자가 공적인 슬픔을 강조한데 비해 후자는 사적인 슬픔으로 국한된다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시인의 개인적 정감에 충실한 시’는 망자와 시인의 추억, 망자에 대한 시인의 진심, 그리고 슬픔의 표현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시들은 애도의 슬픔이 더욱 애절하고 진정성 있게 투사되어 감동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었다. 한편 정두경의 만시는 用事를 통해 죽음과 그 슬픔, 그리고 망자를 형상화한 경우가 많았다. 주로 『史記』, 『莊子』, 『詩經』, 『書經』등 先秦兩漢의 서적에서 전고를 끌어왔는데, 전고 사용의 다양성은 물론이거니와 적실성과 정묘함을 함께 갖춘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정두경의 만시는 17세기의 혼란한 시대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양하고 정교한 용사를 통해 만시의 예술미를 높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research Requiems(挽詩) written by Jeong Du-Gyeong(鄭斗卿), a poet who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First of all, the main character of Jeong Du-Gyeong’s Requiems are royal family member and people in high social status. In use of verse form, he frequently used Yulsi(律詩) with five wards, and used a lot of sequential forms too.
Contents of Jeong Du-Gyeong(鄭斗卿)’s requiem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poem focused on the social status of dead person, the other is the poem expressed individual emotion truly. The former have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status of a dead person again. About top officials, poet speaks highly of their efforts to overcome a national crisis and their sincere advice to the king on national problems. However about relatively low officials, poet speaks highly that they governed well as the mayor of a town and feels sorry for their unfortune at the same time. In the latter case, the memories dead person and poet shared together, poet’s true feelings for a dead person, and deep sorrow are expressed mainly. Poet’s whole heart and soul is in these poems, so it makes a deep impression on the reader. Meanwhile, Jeong Du-Gyeong made use of a lot of Yongsa(用事) in his requiems. Yongsa(用事) of his requiems had correctness and excellence as well as variety.
These Requiems(挽詩)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ed a chaotic state of affairs of the 17th century and it made requiem’s the beauty of art higher through Yongsa(用事).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정두경 만시 개괄
3. 정두경 만시의 두 양상
4. 用事를 통한 형상화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