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현실과 야담

이용수  2,247

영문명
The late Joseon Dynasty’s realities and yadam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임완혁(Lm, Wan-hyuk)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5輯, 33~7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야담 또는 한문단편의 형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구연화와 기록화는 큰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실상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기록화의 실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조선후기에 나타난 서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서사 기록물의 향유자 및 기록자의 실질적인 상을 살펴봄으로써 기록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17세기 이후의 서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문자 그대로 남녀노소 모두에게서 넘쳐난다. 어린 아녀자에서부터 팔순의 여인, 학문을 연마하는 젊은 선비에서부터 한가하게 지내는 노인까지 서사물을 향유하였던 바, 야담 또는 한문단편의 발전은 이런 서사의 시대라는 토양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야담의 향유층은 通儒를 지향하는 사대부 계층이다. 이들은 젊은 시절에는 博覽의 방편으로, 노년에는 破閑의 도구로, 일상에서는 역사 이야기 또는 사료의 보충자료로 패설을 접하였다. 때문에 야담, 패설의 창작과 향유는, 물론 구연화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사대부들의 독서 행위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야담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은 대부분 박학을 추구한 선비였다. 이 선비들에게 나타나는 藏書家, 讀書癖, 通儒의 지향 등의 면모는 야담의 향유와 기록 양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이다. 조선전기나 후기나, 야담과 筆記에 대한 사대부들의 관점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조선후기의 서사적 환경 - 서사에 대한 관심의 고조, 중국에서 쏟아져 들어온 서사물의 독서와 그에 따른 서사적 욕구의 상승, 세계의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개방적 의식의 고양, 역동적 사회관계의 변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인간형의 등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조선전기의 필기와 구별되는 질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Hanmundanpun or yadam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a fragment of the larger meanings of recorded pixels oral narrated action. In previous studies, its lack of concrete had the discussion about the reality is thought. This pa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documentation indicated in the late Joseon epic of the documentary description about the social interest and historian was to examine the practical phase. Since the 17th century, the interest in narrative, literally from all ages can be found. From young girls to the old ladies, a study from the leisure to cultivate the young scholar to spend up to seniors who enjoy paeseol bar, yadam or hanmun short narrative of the foundation will be made at the age of the soil. Enjoyment of yadam, nobleman level is nobility level-oriented. These are people who had read for extensive knowledge their youth, and the elderly, they read to spending time, everyday story of the history, the tangent of the feed supplement was to be paeseol. That’s why Yadam and paeseol are creation and enjoyment of the act of reading is closely linked. Most people who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yadam and the pursuit of erudition were scholars. A book collector, the reading habit, TongYU, etc, enjoy yadam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written characters is the code. Yadam writing or reading about and writing a very different perspective is suspected. However, the late Joseon’s narrative environment-an epic for all social interest sof the heightened, China’s flood came an epic water reading and the subsequent narrative needs and levels rise, the world’s phenomena broadly seeking to understand the conscious cat, the dynamic of social relations due to a variety of changes and humanoid appearance of the handwriting and the Korea Electric is a distinct qualitative change will have been achieved. Joseon yadamjip in best summarizes the above “ChungYadam” fully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of the late Joseon who had a case will.

목차

국문초록
1
2
3
4
5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완혁(Lm, Wan-hyuk). (2011).조선후기 현실과 야담. 대동한문학, 35 , 33-70

MLA

임완혁(Lm, Wan-hyuk). "조선후기 현실과 야담." 대동한문학, 35.(2011): 3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