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인식
이용수 238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Students tak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about a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한영목(Han Young-Mo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9輯, 389~4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2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surveys 175 students who are tak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about their perception about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s the results.
91 students(53%) responded that the hours of native language classes should be expanded and the common textbooks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are generally satisfying. 144 students(82.3%) agreed that there should be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alth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adult are actually insufficient. The students consider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differen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Only 57 students(32.5%) responded that they heard about native language education organizations for adult in Korea and 118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never heard about the organizations. Also, 135 students(77.1%) responded that they could not get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are because they didn’t know the programs or the organizations or didn’t have time. 89 students(50.8%)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continue native language learning, but they don’t know the program contents and the locations. Judging from this, it needs to intensify the system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adult and actively advertise the programs.
71 students(40.5%) responded that they would prefer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s the form of learning, if a new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 is established. Furthermore,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that once a week for 2~3 hours is adequate and they are more interested in a practical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 which teaches vocabulary, language standards, Hangul, and how to improve language skills such as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Lastly, this research proposes that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adult should be introduced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which meets social learning.
목차
1. 머리말
2. 자국어 교육에 대한 인지 실태
3. 해석과 제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에서 표현 매체의 교육적 수용 효과에 관한 연구
- 〈앵로부(鶯鷺賦)〉의 작가 의식과 우언적 형상화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 중국 무순지역 한국어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인식
- ‘듣다’(落)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아무’의 지시적 성격과 출현 형태 및 의미적 해석
-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 옥소 권섭의 시조 〈16영〉에 나타난 현실인식태도
- 80년대 노동담론의 여성이미지 연구
- 오규원 시에 나타난 날이미지의 환유 체계 연구
- 문학 작품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관음화현(觀音化現)의 상상력
- 작문사(作文史)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의 단계별 교육 내용 설정 연구
-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 박인환 시의 장소와 심상지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