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발화에서의 불손 실현
이용수 8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impoliteness in Korean speech act: Brown and Levinson’s (1987) impoliteness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나(Kim, Tae-Na)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8 No.3, 439~47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evaluated whether Brown and Levinson’s (1987) impoliteness strategies, ‘strengthen face threatening acts or injure one’s face’ as opposed to the politeness strategies, are available to realize the impoliteness in terms of Korean speech acts (especially, Korean drama). It is presented that Brown and Levinson’s (1987) theory of politeness encompasses the potential of impoliteness: the speech acts are face threatening acts and the polite intentions are face-saving and polite impicature deviated from Grice’s (1975) cooperate principle. But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ir theory, which is concerned in linguistic strategies in the level of utterances and face notion as the personal basic wants not the social norm, Brown and Levinson (1987) cannot deal with perfect impoliteness and produce the non-politeness category in Korean speech acts. As the results of applying their impoliteness strategies, we found that they had no correlation in the rank of impoliteness degree and each of them conflicted, positiveㆍnegative impoliteness strategies appeared in onㆍoff record ones and in one speech act positiveㆍnegative ones did at same times. That is the judgement of impoliteness depends on social norms, social duty and role, context(social relations of participants of talk; verticalㆍhorizontal relations and intimate distance, prior situations and expectation) and responses of hearer through recognition of them.
목차
Ⅰ. 서론
Ⅱ. Brown과 Levinson(1987)의 불손의 잠재성(공손의 부재)
Ⅲ. 한국어 발화에서의 불손전략 적용
Ⅳ. 한국어 발화에서의 불손 실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상과 담화구조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상 습득 연구
- 예비영어교사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다각적 평가 연구
-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 참조기준에 근거한 스페인어 교재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
- 영어시험 타당도와 대학수학에 필요한 영어 능력
- Learner Collaboration and Reciprocal Language Learning in Language-Exchange Conversations
- 영어과 인정 교과서의 현황과 분석
- 교재 선정을 위한 한국어교재 평가 모형 연구
- Chinese Learners’ Processing of Nominal Suffixes in Korean
- 韓國文學作品の日本語譯における考察
- 명시적 설명 및 참여적 학습 활동을 활용한 대학 영문법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교육실습생들의 교실영어 사용에 대한 자기평가
- 영어 자유 관계절과 간접 의문문의 제2언어 습득
- Enhancing Learner Recognition of Recasts in EFL Classrooms
- 듣기과제 유형이 영어학습자의 학문목적 듣기텍스트 이해 및 표출하기에 미치는 영향
- 제2외국어 인증제 도입을 위한 사전 연구
- 한국어 발화에서의 불손 실현
- Learners as Corpus Resear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