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휘상과 담화구조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상 습득 연구
이용수 1,4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L2 Korean acquisi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Searching for the factors of lexical aspect and discourse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희(Park, Sun Hee)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8 No.3, 361~3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vious L2 studies regarding interlanguage tense-aspect use have predicted that the tense-aspect morphology w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exical aspects of verbs and discourse structure such as Foreground and Background. Bardovi-Harlig(1995) and other researchers argued that L2 learners’ tense-aspect use are sensitive to the lexical aspect of the verbs. Hopper(1979) argued that past tense was the most prevalent tense morphology in the foregroun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below; RQ 1. Do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tense-aspect morphology according to lexical aspect of verbs? RQ2. Do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tense-aspect morphology according to discourse structure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The data was collected by story rewriting task conducted for 30 minutes. 833 predicates were extracted out of 528 sentences for the analysis of tense-aspect morphology.
목차
Ⅰ. 서론
Ⅱ. 어휘상에 따른 시제상 사용
Ⅲ. 담화구조에 따른 시제상 사용
Ⅳ. 시제상과 담화구조에 따른 L2 한국어 시제상 연구
Ⅴ. 연구 방법
Ⅵ. 연구 결과 및 논의
Ⅶ.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휘상과 담화구조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상 습득 연구
- 예비영어교사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다각적 평가 연구
-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 참조기준에 근거한 스페인어 교재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연구
- 영어시험 타당도와 대학수학에 필요한 영어 능력
- Learner Collaboration and Reciprocal Language Learning in Language-Exchange Conversations
- 영어과 인정 교과서의 현황과 분석
- 교재 선정을 위한 한국어교재 평가 모형 연구
- Chinese Learners’ Processing of Nominal Suffixes in Korean
- 韓國文學作品の日本語譯における考察
- 명시적 설명 및 참여적 학습 활동을 활용한 대학 영문법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교육실습생들의 교실영어 사용에 대한 자기평가
- 영어 자유 관계절과 간접 의문문의 제2언어 습득
- Enhancing Learner Recognition of Recasts in EFL Classrooms
- 듣기과제 유형이 영어학습자의 학문목적 듣기텍스트 이해 및 표출하기에 미치는 영향
- 제2외국어 인증제 도입을 위한 사전 연구
- 한국어 발화에서의 불손 실현
- Learners as Corpus Resear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