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현장 에서의 순회교육 지원방안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이용수 322
- 영문명
- The Research for Itinerant Education Support of Deaf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under Inclusiv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비주(Park, Bijo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6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3,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순회교육 지원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학생의 순회교육 지원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의 순회교육에 대한 필요 인식과 실행 방안 인식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순회교육 경험 유무, 성별, 학교 설립유형별, 담당학급별, 특수교육 경력별 등이다. 이 연구의 설문 결과에 대한 자료처리에서는 순회교육 경험 유무가 주요 변인이 되었다. 즉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한 자료처리를 통해 교육 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성별, 학교 설립유형별, 담당학급별, 특수교육 경력별 등으로 종속변인을 분석하였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는 통합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순회교육 지원 제도가 마련되지 않으므로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순회교육이 청각장애학생보다는 중증장애학생을 위한 지원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청각장애학생의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순회교육지원 실행방안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한다.
영문 초록
As discussed in special education today, one of the main challenges is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can also be questioned in hearing impaired student's education. However, currently in Korea, inclusive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the deaf school support level of circuit training for research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clusive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itinerant education operating in situations and needs. This study also includes the execution plan in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of deaf school teachers includes teaching experience, gender, the school type, class or division of school in charge of science, special education, career, etc.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in Domestic. Institutional relations with the deaf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regarding the itinerant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ust be recognized. Another
important factor that must be recognized is the effectiveness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itinerant
education for the inclusive education syst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멀티미디어기반의 자기주도적 직업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외주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다층모형 메타분석(Multilevel Meta-Analysis) 활용 방안 탐색
- 지적장애 학생의 물건 구입하기 기술에 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 분석
- 자기결정 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직업훈련이 정신지체 전공과 학생의 작업 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 규정의 문제와 대안 탐색
-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관용어 유형 및 과제제시 방법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
-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 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개별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현장 에서의 순회교육 지원방안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실제(敎科敎室制) 도입 가능성 타진
-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형별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