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 분석

이용수  572

영문명
The Analysis on Structure Factor of Curriculum at Special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윤미(Lee, Yun Mi) 조인수(Cho, In So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6권 제1호, 239~2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3,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수업실행을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교육과정 구성체제와 운영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수준은 높으나, 수업 실제에 있어서 교육과정을 절대적 기준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의 주요 요인은 교육과정 구성 지식과 교육과정 조정 요인이다. 다음으로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구성 체제는 장애아동의 교육 내용 및 방법, 개별화수업계획, 그리고 수업에서의 아동 수행 또는 행동의 객관적 관찰을 위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한계는 다양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와 현실의 괴리감 등이다. 그러나 특수학급 교사는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는 달리 수업실행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수학급 수업의 실제에 있어서 교육과정 제반 요인은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factor of curriculum at special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Three questionaries, curriculum with 22 from 24 questions, instruction with 22 from 24 questions, and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with 21 from 24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 389 special class teachers over the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ies of the three questionaries were ensured. The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 Cronbach alpha, Durbin-Watson, t-test, Chi-square, co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that: (a) the special class teacher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 curriculum was not utilized on the instruction performance in special class; (b) the main factors of curriculum in teaching with special class were influenced by the structure knowledge and adaptation factor of curriculum; and (c) th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tructure system of curriculum was for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IEP, and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 the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knew that the curriculum is important, however, the teachers did not utilize the curriculum factors in the teaching performan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미(Lee, Yun Mi),조인수(Cho, In Soo). (2011).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6 (1), 239-260

MLA

이윤미(Lee, Yun Mi),조인수(Cho, In Soo).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6.1(2011): 239-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