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Korea

이용수  149

영문명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 : 현상을 유지해야 될까 또는 변화해야 될까-경기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윤기옥(Yoon Ki ok)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93~12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교육의 연속체 상에서 초임교사를 위한 교육은 현 사회에서 요구되는 헌신성, 자율성, 창의성과 연구능력을 갖춘 전문가로서의 교사를 육성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에서의 초임교사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학교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다.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에서 제시하는 방법이 적절히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통해 임상장학대상자와 비대상자의 교내 임상장학에서의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의 적용에 대한 생각,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장학체제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고, 면담을 통해 임상장학의 현황, 문제점, 발전방향을 살펴보았다. 면담이 연구문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결과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에서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론이 적절히 그리고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장학대상자와 담당자 간에 민주적 동료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고,참관전 협의회에서 교사중심으로 교사의 관심사에 대하여 논의 하며,함께 수업안을 짜는 등의 협력적 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수업관찰에서 관찰도구가 적절히 이용되고 있지 않았고, 그 결과 참관후 협의회에서 피이드백이 체계적이며 교사중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임상장학은 l년에 1-2회, 주로 교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었고, 임상장학기간은 주로 5년이나 3년간 이었다. 임상 장학이 내실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론에 대한 탐 색이 장학대상자와 장학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이든 교감이든 수업장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장학담당자가 되는 가운데, 임상장학기간을 적절히 줄여가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e continuum of teacher education. inservice education for the beginning teachers is important to help them become professionals with commitment. creativity. autonomy, and research ability. In Korea for the beginning teachers. clinical supervision is provided in the school level for three to five years. For the 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to be implemented successfully. the methods of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rn instructional supervision. which has become the basi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re expected to be used proper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used to find out what the supervisee and non-supervisee think about the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rn instructional supervision implemented in the schools. what the supervisee think about the present clinical supervision system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explore what were the present state,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clinical supervision. Major findings were that the colleague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ee and the supervisor was not established. that the clinical supervision was not teacher-centered. that intensive cooperative lesson planning of the supervisee and supervisor was not established. that the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were not properly and widely used. and the feedback provided was not based on concrete data and needs of the teacher. In order to build a strong foundation for clinical supervision. research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as well as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needed to be shared among th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rough. for example. the year round in-house training. On top of this with a cycle of clinical supervision rather than a one-shot approach, and the supervisors equipped with expertise. present clinical supervision period could be reduced. raising teachers that we ne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linical Supervision
Ⅲ. Research Method
Ⅳ. Results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기옥(Yoon Ki ok). (2011).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Korea. 비교교육연구, 21 (1), 93-121

MLA

윤기옥(Yoon Ki ok). "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Korea." 비교교육연구, 21.1(2011): 93-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