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 연구

이용수  657

영문명
A Cross 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Elementary SChool Discipline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홍신기(Hong Sin ki) 윤순종(Yoon Sunn jo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123~1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지도를 위해 필요한 훈육규정에 대해 주요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는 문헌 검색을 통하여 학교의 훈육 규정을 확보할 수 있는 영국, 미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영국,캐나다는 2개 학교 씩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미국의 경우는 대다수의 공립 초등학교가 관할 지역구의 훈육 규정을 준수하고 있어 관할 지역구의 훈육 규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국의 훈육 규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육 목적은 영국과 캐나다의 경우 긍정적 훈육 측면에서의 학생의 자아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국의 경우는 훈육 규정 자체에는 훈육의 목적이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훈육 행동 유형은 257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257가지 훈육 행동 유형 중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대상이 되는 행동은 신체폭력,금지 물건 소유,금지 약물 사용, 물건 훼손 및 절도,언어폭력,성적 폭력,전자 기기 사용 규칙 위반 6가지이다. 셋째,훈육 방법은 3개 국가 중에서 미국의 경우가 훈육 방법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고 절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훈육의 행동 유형 및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를 나누고 교사 수준에서 처리하는 방법부터 교장 및 지역사회 협력기관의 수준에서 처리하는 방법까지 사안 별로 제시했다. 훈육의 본질 적 의미에서 긍정적 훈육의 방향을 기본으로 해야 하겠으나 불가피하게 교실 통제 불능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실제 초등학교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훈육 규정의 적용,법제화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elementary school discipline of major countries. I have collected three countries cases by searching literatures and web materials. Three Countries are England, United States and Canada. I have chosen six elementary schools of three countr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school discipline is focused self development and positive direction. Second, according to six elementary school discipline, I can classify discipline behaviors are around twenty five types. Among these behaviors, physical violence, belonging illegal items, using drugs, damaging belongings of others and school. sexual harrassment. and violating rules of using electronic devices are common discipline behavior types. Third, in terms of consequences, United States is presenting very specific and systematic school discipline consequence and procedure. In the basis of behavior serious level. different consequences are applied to individual student cases. We should direct positive discipline in terms of discipline essential sense. However, I suggest that school discipline is compulsory and necessary for avoiding classroom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영국의 초등학교 아동 훈육규정
Ⅲ. 미국의 초등학교 아동 훈육규정
Ⅳ. 캐나다의 초등학교 아동 훈육규정
Ⅴ. 논의및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신기(Hong Sin ki),윤순종(Yoon Sunn jong). (2011).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 연구. 비교교육연구, 21 (1), 123-146

MLA

홍신기(Hong Sin ki),윤순종(Yoon Sunn jong).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주요국의 훈육 규정 사례 연구." 비교교육연구, 21.1(2011): 123-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