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 다문화 가정 학생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선교육지대(ZEP) 제도의 운영 실태와 효과
이용수 633
- 영문명
- Operational Realities and Effects of ZEP Policy from the Viewpoint of French Schooling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영(Park Sang Young) 신재철(Shin Jae Chul)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6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 필연적으로 도래한 다문화 시대에 사회통합을 이루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접근이다. 특히 학교는 각자 다른 문화적 배경 출신의 학생들이 그들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는 중요한 사회적 공간이며,학생들의 사회생 활에 필요한 지적, 감성적 근간을 마련해주는 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랜 이민 역사를 지니고 있는 프랑스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교육에 관한 비판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교육 정책이 나아갈 방항을 논의하려는 데 있다. 프랑스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인 우선교육지대제도는 긍정적 차별을 구현하기 위한 행정적 장치로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러나 여전히 그 시행에 있어서 교사의 업무 과중,학생의 문화적 혼란,역차별과 구분 짓기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프랑스의 우선교육지대제도의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프랑스의 사례가 우리의 다문화 교육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multicultural era that has come inevitably to our society. employment and education are the top priority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Particularly. school is an important social mechanism where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in which provides them with a base of intellectual and emotional capacity for their soci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riously to consider the future of public education for our society by critically analyzing the case of French schooling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that has a long history. Among many french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ZEP(Zone d’Education Prioritaire: Priority Education Zone) system is well settled as administrative mechanisms for positive discrimination. Nevertheless. it still reveals several defects such as teachers' overload. students' cultural confusion. reverse discrimination and segregation. This study sought for implications that French case suggests for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by multilateral examination of ZEP system.
목차
Ⅰ. 서론
II. 우선교육지대 제도의 개념과 현황
Ⅲ. 우선교육지대제도의 실태
Ⅳ. 논의와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