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관련 프랜차이즈 업체 경영자를 대상으로 창의경영(경영자 창의성, 조직 창의성)이 혁신행동을 매개로 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모형은 경영자 창의성과 조직 창의성을 독립변수로, 혁신행동을 매개변수로, 기업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경영자의 창의성 발현이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받은 혁신행동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자료는 아동 창의성 개발 교육을 실시하는 블록피아 프랜차이즈 원장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86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6부를 제외한 1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과 같다. 첫째, 경영자 창의성의 하위변수인 전문성과 과업동기부여는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적 사고기술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창의성의 하위변수인 아이디어도출 능력과 문제해결은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셋째, 혁신행동은 기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개인 창의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창의성 연구의 영역을 조직 창의성 수준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점에서 다소간 학문적 기여가 기대된다. 둘째, 조직 창의성을 경영자의 창의성과 조직 창의성으로 구분하여 이를 창의경영이라는 개념으로 통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창의경영의 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창의경영에서 최고 경영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종업원은 개인 창의성 모형에서 제외하였으며, 둘째, 아동의 창의성을 개발하는 소규모 크기의 프랜차이즈 교육원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일반기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creativity management identifies a relatively unexplored area in organizational behavior. All innovation begins with creative ide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ew programs, new product introductions, or new service depends on a person or a team having a good idea, and developing that idea beyond it's initial state.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can influence both the level and the frequency of creative behavior. The creativity of management includes three major components of individual creativity each of which is necessary for creativity in any given domain: expertise, creative-thinking skill, and intrinsic task motivation. I define organizational creativity as the creation of a valuable, useful new product, service, idea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by individuals working together in a complex social system.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I suggest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s follows: Research Model HⅠ: Innovative behavior will be affected by creative management. (HⅠ-1-1, HⅠ-1-1-2, HⅠ-1-1-3, HⅠ-2-1, HⅠ-2-2) HⅡ: Performance will be affected by innovative behavior. This research examined effect of creative management, on innovative behavior, and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on performance.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thinking skill has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two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have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innovative behavior has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ighlight how little is known of creative management on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