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적 인재상과 창의적 조직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81
- 영문명
-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Creative Employee and Creative Organ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유정석 백윤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기업이 원하는 창의적 인재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분야의 기존 문헌을 참고로 창의적 인재상을 재정립하고, 조직 내에서 개인이 창의성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업무에 적용하는 과정을 촉진시키는 조직환경을 평가하였다.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을 통하여 기업이 원하는 창의적 인재의 핵심 요소들을 파악하고 현재 조직원들의 상황을 평가하였다. 또한, 개인의 창조성 개발과 발전, 업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의 요소들을 살펴 보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원하는 창조적 인재상을 재정립하였으며, 창의성의 개발, 발전, 발휘를 위한 조직원과 조직문화의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대학이 기업이 원하는 창의적 인재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교육과정을 마련하여야 하는 지에 대한 의미있는 암시를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nature of the creative person whom the general companies wish to hire. The concept of the creative employee is introduc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ast studies in the area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is study evaluates the organizational conditions to induce the individual employee at the company to develop and improve his creativity and apply it to his job. The analysis on the survey outcome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of creativity, which the companies want, and to evaluate the current employee’s creativit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main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that may significantly affect how the employee develops, improves, and uses his creativity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ecome the basis for formulating the concept of the creative employee and the study assesses the current level of creativity and conditions to motivate the creativity.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to the colleges that prepare the curriculum to educate students to be creative employees whom the most companies wish to have.
목차
I. 연구의 목적
II. 창의적 인재상의 구체화와 창의성을 위한 조직문화의 개념화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핵심인재관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중국법인에서 국제인사관리정책과 노동생산성간의 관계
-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유형과 조직문화간의 관계
- 창의경영 , 혁신행동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
- 산업 및 조직 경험이 향후 조직 설립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상황요인으로서의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유교적 가치와 리더에 대한 신뢰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야누스 효과
- 네트워크 행동과 경력만족
- Symbolic Management Revisited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과 CEO의 역할에 대한 고찰
-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 팀제에서 다양성은 중요한가?
- 사회적 교환, 수용자의 능력, 그리고 성과
-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에 관한 실증연구
- 양면성 촉진을 위한 통합루틴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구성차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입학경로에 따른 대학생의 구직행위 분석
- 업무특성과 정보기술 활용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인재상과 창의적 조직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창조경영 연구의 이론적 토대 및 연구 동향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