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교환, 수용자의 능력, 그리고 성과
이용수 104
- 영문명
- Social Exchange, Employees’ Abilities, and Outcome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상표(Sang-Pyo Kim) 전수욱(Su-Wook Jeon) 김태열(Tae-Yeo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직에서 사회적 교환이 계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 수용자의 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교환이 수용자의 능력인 행동의 자주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행동의 자주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행동의 자주관리가 매개효과를 발생시키는지 연구한 것이다. 연구자료는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 위치한 기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자의 양해를 구해 각 부서의 부서장이 부하와 직속상관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여 수집했다. 총 배부된 설문지는 800부이고,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610부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교환이 수용자의 능력인 행동의 자주관리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 자주관리가 조직의 성과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교환은 대체로 조직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의 자주관리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추후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Social exchange theory suggests that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and organizations buil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i.e.,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respectively) within which both parties continuously exchange socio-emotional benefits such as recognition and esteem (Cropanzano & Mitchell, 2005; Rupp & Cropanzano, 2002).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are different from purely economic exchange relationships in that the obligations of the both parties in social exchange are unspecified. The open-ended obligations strengthen bonds of indebtedness and trust which trigger one exchange party to become committed to
the other (Blau, 1964). As a result, employees i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tend to form a high degree of trust, a high level of investment and obligation, and a long-term orientation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s and organizations (Rupp & Cropanzano, 2002; Shore, Tetrick, Lynch, & Barksdale, 2006). In addition,
employees who enjoy the goodwill and caring of an organization will feel obligated to reciprocate with positive behaviors toward the supervisors and organizations. Current social exchang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on employee outcomes. However, they paid little attention to examining how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influence employees’ intentions or abilities to reciprocate with behaviors and attitudes that benefit the supervisors and organization.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can be maintained if the receiver who gets the benefits (e.g., employees) can provide some intangible socio-emotional resources to the giver (e.g., supervisors or organizations), if the receiver harms the giver,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can be broken (Gouldner, 1960). In general, the receivers i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re willing to improve their ability to benefit the giver because they would not like to break the trust with the giver and feel obligation to benefit the giver.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influenced the receivers (i.e.,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i.e., ability) and how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affected their work attitudes and behaviors. We collected the data from three organizations in Republic of Korea (i.e., one air
manufacturing, one hotel, and one telecommunication company). In the survey, employees assessed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their behavioral self-manage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ervisors reported their subordinates’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 distributed 500 employee-supervisor pair surveys. Of 351 surveys collected (i.e., response rate = 70.2 %), we deleted 34 ones due to errors and missing values. The reliabilities of all the measures are great. The average of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was 4.43 and 4.53, respectively, which is not high on a 7-point Likert-type scale. As expected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ested the mediation effects using Sobel (1982)’s test. Results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on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influenced employee outcomes (i. 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employees’ behavioral
self-management.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핵심인재관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중국법인에서 국제인사관리정책과 노동생산성간의 관계
-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유형과 조직문화간의 관계
- 창의경영 , 혁신행동 및 기업성과와의 관계
- 산업 및 조직 경험이 향후 조직 설립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상황요인으로서의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유교적 가치와 리더에 대한 신뢰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야누스 효과
- 네트워크 행동과 경력만족
- Symbolic Management Revisited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과 CEO의 역할에 대한 고찰
-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 팀제에서 다양성은 중요한가?
- 사회적 교환, 수용자의 능력, 그리고 성과
-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에 관한 실증연구
- 양면성 촉진을 위한 통합루틴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구성차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입학경로에 따른 대학생의 구직행위 분석
- 업무특성과 정보기술 활용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인재상과 창의적 조직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창조경영 연구의 이론적 토대 및 연구 동향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