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세기까지의 부흥운동과 선교
이용수 217
- 영문명
- The Church Revival and Christian Mission until 18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황순환(Hwang, Soon-hwan)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16집,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rman Pietism movement, the church renewal of England and the spiritual awakening movement of America’s churches from the view point of mission history. This study found out that each movement has close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e above mentioned variables also had a direct influential power to the social problems. These were the facts that made churches more vital and boosted activities of churches in history.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mporary situations of the Korean churches after 100th anniversary of Pyungyang revival movement in 1907. All the Church Renewal movements for both the Korean churches and the foreign churches has one thing in common: How to get out of the past mannerism and how to get rid of those practical ways which are being performed until these days.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back to
the situa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from the Pyungyang revival movement in Korea because the situations of present korean church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st churches. The Afghanistan hostage incident which happened last summer 2007 left so many questions to the Korean Churches: why they could not stand for oversea missions, how crucial it is for them and what's the real cause of this problem. Because of that hostage taking, the people nowadays think that Korean churches los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y think there’s no place for them outside the church. With the essential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predict the ways of reviving the Korean church and Church Renewal. We just need to open our mind and think about Pyungyang revival movemen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경건주의 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선교운동
Ⅲ. 교회부흥과 선교의 개념 이해
Ⅳ. 독일교회의 부흥운동과 선교
Ⅴ. 영국교회의 부흥운동과 선교
Ⅵ. 미국의 대각성 운동과 선교
Ⅶ.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