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Beauty Art Students' Self-Concepts on Their Receptivity of the Hair Trend and Their Store Choice Tendencie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고경숙(Kyoung Sook Ko) 고순금(Sun Gem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1권 제3호, 67~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work, the effects of beauty art students’ self-concepts on their Acceptance of the hair trend and their store choice tendencies were analyzed and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students’ self-concep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ceptance of the hair trend(F=42.38, p<.001).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concepts by each level, the complet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Acceptance and the guidance Acceptance, and the soci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guidance Acceptance and the awareness Acceptance. Second, it has been turned out that investigating the hair trend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iency of the store choice tendencies(F=7.20, p<.001). It has also been found out that the Acceptance had a slight effect on the hair trend hair trend. Third, it came out that the self-concepts and the hair trend Acceptance interact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ore choice tendencies(F=9.17, p<.01) and the service and efficiency of the store choice tendencies. Finally, in the light of the demographic features,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concepts depending on the academic career(F=3.16, P<.05), and the self-concept was the highest among th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junior college. The store choice tendencies ag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cademic career,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tend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경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각질세포 보호효과
- 중년여성의 자의식 수준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근육.근막이완요법과 스웨디쉬 마사지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 미용전공 학생들의 자아개념에 따른 헤어트렌드 수용도와 점포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
- HDTV 환경에서 베이스 메이크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 日本女性의 頭髮樣式 및 裝身具에 관한 연구
- 용매에 따른 반영구 염모제의 모발염색 효과(Ⅰ)
- 유용미생물 사용 시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성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
- 얼굴요소의 특징이 자신과 타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뷰티디자인의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 로코코 이미지 컨셉트 미용실을 위한 VMD연구
- 여성의 두피 및 모발관리형태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 남성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제1보)
- 피부미용사자격증 취득자와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도 조사
- 자기애성향 집단별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이 미용추구혜택과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