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부미용사자격증 취득자와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도 조사
이용수 156
-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reputation index of national esthetician certificate and professional esthetician -with in Gwangju and Jeonnam area-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류연옥(Yeon Ok Ryu) 조고미(Koh Mi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1권 제3호, 41~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ses the social expectancy of the new national esthetician certificate system revised in 2008 and the social reputation and self-confidence of estheticians. From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paper notes that most of estheticians were graduates of university or college and ages of 20 to 50. 82% of the respondents consider the national certification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job and the most of them are in favor to give monetary incentive(79%) or promotional incentive(66%) to the national certificate holders. Many respondents(53%) think the esthetic shop as of great prospect, 64% have positive view with their job or certificate and 68%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ere are no stochastically meaningful different view between job holder and certificate holder on the survey items but on the item of monetary and promotion incentive. It is believed that the information given by this study is useful for the strategic planning to make desirable social image of esthetician as a professional and to advance the esthetician certificate and the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전공 학생들의 자아개념에 따른 헤어트렌드 수용도와 점포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
- HDTV 환경에서 베이스 메이크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 여성의 두피 및 모발관리형태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 근육.근막이완요법과 스웨디쉬 마사지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 질경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각질세포 보호효과
- 피부미용사자격증 취득자와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도 조사
- 자기애성향 집단별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이 미용추구혜택과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얼굴요소의 특징이 자신과 타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용매에 따른 반영구 염모제의 모발염색 효과(Ⅰ)
- 日本女性의 頭髮樣式 및 裝身具에 관한 연구
- 남성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제1보)
- 유용미생물 사용 시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성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
- 중년여성의 자의식 수준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로코코 이미지 컨셉트 미용실을 위한 VMD연구
-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뷰티디자인의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