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이용수 7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ja(-자) and '-jamaja(-자마자)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윤정기(Yun Jeongk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4輯, 91~11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purpose to study the interrelationship of '-ja(-자) and '-jamaja(-자마자) I have attempted to classif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of replacement probability of example sentence of '-ja(-자) and '-jamaja(-자마자). It was classified as two types. The first one is a thing which it is possible to replace '-ja(-자) and '-jamaja(-자마자) each other. It could be classified as two types again. One is almost same as the meaning of two sentences. Another one is slightly different or similar in the meaning of two sentences. However, the other one is thing that it is impossible to replace '-ja(-자) and '-jamaja(-자마자). This is because it is either a wrong sentence or strange sentence. Subsequently, I studied on the combination restriction of '-ja(-자) and '-jamaja(-자마자). In the subject combination restriction, sentences with '-ja(-자) could be strange when the subject of first clause and second clause is same. In the tense combination restriction, both in '-ja(-자) and '-jamaja(-자마자), the first clause have combination restriction of tense but the second clause of '-ja(-자)' could be combined with present and past tense. '-ja(-자) could be combine only with verb. Semántic relative of '-ja(-자) and '-jamaja(-자마자) may be connected with category of '-ja(-자). Therefore, ‘-자’ could be substituted with ‘-자마자’, but just a part of ‘-자마자’ couldn't be substituted with ‘-자’.
목차
1. 문제 제기
2. ‘-자’와 ‘-자마자’의 의미 분류와 특징
3. ‘-자’와 ‘-자마자’의 교체 가능성
4. ‘-자’, ‘-자마자’의 제약관계
5. ‘-자’, ‘-자마자’의 의미관계
6.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 개화기 가사의 작자층 고찰
-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 蔡瑞虹忍辱報仇와 明月亭의 相關性
-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 염상섭 초기소설의 여성의식
-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 연시조 『매화사』의 세 구조 연구
-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 정보의 처리와 표상의 측면에서 본 괄호매김역설
- 서사구조에 나타난 인물의 주체화 양상
- 버틀러의 페미니즘 담론을 통해 본 단편소설 『아내의 상자』의 서사 구조
- 효과적인 ‘진술 방식’ 교육을 위한 글쓰기 교재의 활용과 적용 방안
- 漢詩의 長形 標題에 대한 문체론적 연구
- 한국 샤머니즘(巫)과 민속춤의 치유성에 관한 연구
- 이문구 소설의 공간 연구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형용사의 제시 방안
-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수여동사의 합성 현상과 소유 변화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