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이용수 221
- 영문명
- A Study on Modern Cinematic Adaptation and Circulation of
Story - Focused on A film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조도현(Cho Do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4輯, 371~3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re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s found in folktales and ancient novels into movies has constituted a mainstream of modern popular culture. The life force of an old story survives time and tide to reach the modern audiences, and the advancement of cinematic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visualize the fantastic elements of the ancient tale. Therefore, diverse media such as animation, theater, film, television drama, and game are enacted to transform old stories into cultural contents, aggrandizing their popular status in th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The film Jeonwuchi is based on the story of Jeonwuchi a historical figure from the Jeoseon period. In particular, Tale of Jeonwuchi, the original story of the film, has been well-known among the public in the form of folklore and novel: the film version successfully recreates the world of fantastic romance in which the protagonist performs brilliant exploits. The typicality of hero story, often described as a "life of hero," has been utilized as a universal way to compensate for the sense of deprivation that the public feel in reality. Jeonwuchi is loyal to the theme of the original folktale by portraying the catharsis of desire which unfolds in the criticism of unjust society, the conflict between the good and the bad, the punishment of villains, and the final triumph of the hero in the face of adversities. In the mean time, although the film version maintains the basic elements of the original story, the former also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latter, showing a unique change in the plot structure. In order to embrace changing world-views in the cinematic adaptation, Jeonwuchi rearranges the series of events, catering to modern sensibility. The character of the protagonist also incarnates the 21st century type popular hero: the hero appears as a lighthearted, active, and talented man, living in a freewheeling urban life style. Moreover, sensational images are advanced to the fullest extent, capitalizing on the unique aspects of the film medium. Jeonwuchi as a visual literature holds greater potentialities to be further developed thanks to the charming motif of hero story. The multimedia upholding modern society provide continuously diversifying forms of narrative for the folk hero. Jeonwuchi on its part carries the power of sustainable narrativation. In conclusion, Jeonwuchi has a vital force to be creatively conveyed to the modern audiences through renewed adaptation and circulation.
목차
1. 머리말
2. <전우치> 서사의 변이와 유통 배경
3. 영화 <전우치>의 영상문학적 특성
4. 변이와 유통방식으로 본 영화 <전우치>의 문학사적 의미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 개화기 가사의 작자층 고찰
-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 蔡瑞虹忍辱報仇와 明月亭의 相關性
-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 염상섭 초기소설의 여성의식
-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 연시조 『매화사』의 세 구조 연구
-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 정보의 처리와 표상의 측면에서 본 괄호매김역설
- 서사구조에 나타난 인물의 주체화 양상
- 버틀러의 페미니즘 담론을 통해 본 단편소설 『아내의 상자』의 서사 구조
- 효과적인 ‘진술 방식’ 교육을 위한 글쓰기 교재의 활용과 적용 방안
- 漢詩의 長形 標題에 대한 문체론적 연구
- 한국 샤머니즘(巫)과 민속춤의 치유성에 관한 연구
- 이문구 소설의 공간 연구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형용사의 제시 방안
-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수여동사의 합성 현상과 소유 변화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