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의 처리와 표상의 측면에서 본 괄호매김역설
이용수 442
- 영문명
- The Explanation of Bracketing-paradox in Cognitive Grammar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채현식(Chae Hyunsi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4輯, 147~1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lex words has been analyzed by the tool called "Immediate Constituent(IC)". Sometimes IC analysis of Complex words lead to asymmetry between morphological structure and meaning structure of Complex Words, which is known to us bracketing-paradox.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at bracketing-paradox does not exist from viewpoint of Cognitive Grammar, and the examples of bracketing -paradox can not be counter-evidence against symmetry between morphological structure and meaning structure of complex words. The bracketing-paradox is logical conclusion of serial processing and loc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which is the basic stance of Generative morphology. Depending on serial processing, complex words are analyzed to only one structure, and depending on loc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the argument structures of verbs are only represented in verb, not in other constituents of complex words. Two structures could not be compatible, and the bracketing-paradox is inevitable. However bracketing-paradox does not occur on the assumption of Cognitive Grammar, because it suppose parallel processing and distributed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Parallel processing of information permits over two analysis of complex words, and distributed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permits sharing of argument structure with verbs and other constituents of complex words. Hence bracketing paradox does not occur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Cognitive Grammar.
목차
I. 머리말
II. 괄호매김역설 복합어의 분석 처리
III. 괄호매김역설 복합어의 표상
IV. 단어의 형태구조와 의미구조의 동형성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 개화기 가사의 작자층 고찰
-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 蔡瑞虹忍辱報仇와 明月亭의 相關性
-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 염상섭 초기소설의 여성의식
-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 연시조 『매화사』의 세 구조 연구
- 이광수 초기 논설에 나타난 '문학'과 '교육'의 의미
-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 정보의 처리와 표상의 측면에서 본 괄호매김역설
- 서사구조에 나타난 인물의 주체화 양상
- 버틀러의 페미니즘 담론을 통해 본 단편소설 『아내의 상자』의 서사 구조
- 효과적인 ‘진술 방식’ 교육을 위한 글쓰기 교재의 활용과 적용 방안
- 漢詩의 長形 標題에 대한 문체론적 연구
- 한국 샤머니즘(巫)과 민속춤의 치유성에 관한 연구
- 이문구 소설의 공간 연구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형용사의 제시 방안
-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수여동사의 합성 현상과 소유 변화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