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Lee Jeong-Ah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6권 2호, 185~2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plor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English-only instruction policy in relation to student learning and their opinions concerning teachers’ effective language use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To this end, the study has adopted a mixed methods design, in which the database consists of 1327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naire responses and semi-structured, open-ended interviews with 23 teachers. After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the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to gain in-depth understandings about the topics being concerned through the teachers’ own voices.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participants in the study did not agree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TETE policy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and tended to use both Korean and English as medium languages of instruction. It was also noted that the participants’ thoughts on the policy were largely independent of the teacher characteristics. Interview results not only corroborated with the survey results but also provided useful information concerning why and when the teachers thought using Korean could be beneficial for the students’ learning. Interview participants suggested that incomprehensible input or exposure is meaningless for the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and the use of Korean is useful in both instructional and non-instructional domains.
목차
I. Introductio
II. Background
III. Methodology
IV. Results
V. Discussion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교사 및 학생이 인식하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영어 교수전략으로서의 제스처 분석
- 초등학생들의 초기 읽기 능력과 구두읽기 유창성의 관계
- 각운 패턴을 활용한 소리내어 읽기 지도가 초등영어학습자의 문장강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반응저널 쓰기를 통한 초등영어와 문화의 통합교육
- 원어민 영어교사와 초등학생 간의 의사소통단절 유형과 보완 전략 연구
- Factors Influencing Korean Students’ Participation and Learning in the U.S. Elementary School
-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에 관한 초등학교 기본연수 강사들의 인식 연구
- “Does the English-only class benefit all learn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